•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ko
  • 简体中文 简体中文 중국어 간체 zh-hans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발간물
    • 이슈페이퍼
    • 보고서
    • 기타자료
  • 최신자료
    • 최신동향
    • 격주간정책동향
    • 과학기술통계
  • 기술동향
    • ICT/융합
    • 원자력/우주항공
    • 생명/의료
    • 에너지/환경
    • 기계/재료
    • 기초과학
  • 정부동향
    • 중국과학기술관리체제
    • 기관정보
  • 지역동향
    • 지역동향
    • 지역별첨단기술개발구
  • 코스텍소개
    • 인사말
    • 연혁
    • 센터사업
    • 코스텍뉴스
    • 오시는길
    • 블로그
    • 발간물
      • 이슈페이퍼
      • 보고서
      • 기타자료
    • 최신자료
      • 최신동향
      • 격주간정책동향
      • 과학기술통계
    • 기술동향
      • ICT/융합
      • 원자력/우주항공
      • 생명/의료
      • 에너지/환경
      • 기계/재료
      • 기초과학
    • 정부동향
      • 중국과학기술관리체제
      • 기관정보
    • 지역동향
      • 지역동향
      • 지역별첨단기술개발구
    • 코스텍소개
      • 인사말
      • 연혁
      • 센터사업
      • 코스텍뉴스
      • 오시는길
      • 블로그
  • Menu
  • 이슈페이퍼
  • 보고서
  • 기타자료
Menu
  • 이슈페이퍼
  • 보고서
  • 기타자료
이슈페이퍼
조회수 : 152
중국의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차 발전동향
발행일: 2021/01/21

중국은 수소에너지 및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리는 수소연료전지차를 핵심사업으로 육성 중이다. 높은 에너지의존도를 낮추고 환경오염을 감소하기 위해 수소에너지를 처음으로 2019년 정부사업보고에 포함시키고 국가전략차원에서 수소차를 핵심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중국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차산업 발전을 시도 중에 있다.

정부의 버스·트럭 수소차 상용화 지원사업에 힘입어 2020년 7월기준 연료전지차 7,200대(버스 93%, 트럭 7%)를 보급시켜 연료전지 상용차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가 되었다. 현재 2022년 동계올림픽 기간에 맞춰 수소차에 투자를 집중하며, 광동성, 상하이, 베이징 및 장쑤성 등을 중심으로 버스·트럭 수소차 수천대가 시범 운행 중이다. 2030년에 이르러 중국이 세계 최대의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관련 육성정책과 발전현황에 대한 주시가 필요하다.

목차

Ⅰ. 배경
Ⅱ. 지원정책
Ⅲ. R&D 활동
Ⅳ. 산업 발전현황
Ⅴ. 전망 및 시사점

이미지 출처 : 자체제작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는 한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북경시 조양구 주선교로 갑12호 전자과학기술빌딩1308호 (100016) Tel: 86-10-6410-7876, 7886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