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ko
  • 简体中文 简体中文 중국어 간체 zh-hans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발간물
    • 이슈페이퍼
    • 보고서
    • 기타자료
  • 최신자료
    • 최신동향
    • 격주간정책동향
    • 과학기술통계
  • 기술동향
    • ICT/융합
    • 원자력/우주항공
    • 생명/의료
    • 에너지/환경
    • 기계/재료
    • 기초과학
  • 정부동향
    • 중국과학기술관리체제
    • 기관정보
  • 지역동향
    • 지역동향
    • 지역별첨단기술개발구
  • 코스텍소개
    • 인사말
    • 연혁
    • 센터사업
    • 코스텍뉴스
    • 오시는길
    • 블로그
    • 발간물
      • 이슈페이퍼
      • 보고서
      • 기타자료
    • 최신자료
      • 최신동향
      • 격주간정책동향
      • 과학기술통계
    • 기술동향
      • ICT/융합
      • 원자력/우주항공
      • 생명/의료
      • 에너지/환경
      • 기계/재료
      • 기초과학
    • 정부동향
      • 중국과학기술관리체제
      • 기관정보
    • 지역동향
      • 지역동향
      • 지역별첨단기술개발구
    • 코스텍소개
      • 인사말
      • 연혁
      • 센터사업
      • 코스텍뉴스
      • 오시는길
      • 블로그
  • Menu
  • 이슈페이퍼
  • 보고서
  • 기타자료
Menu
  • 이슈페이퍼
  • 보고서
  • 기타자료
이슈페이퍼
조회수 : 326
중국의 양자정보 연구개발 동향
발행일: 2020/10/13

중국은 ‘양자굴기’ 선언 이후 양자정보 분야에서 급격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최근 양자정보통신 분야에서 올린 획기적인 성과는 외국 언론에 의해 과학기술력이 높이 평가받고 있다. 2020년 6월 15일, 중국과기대학의 Pan Jianwei 연구팀은 ‘모쯔호’ 양자과학 실험위성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얽힘에 기반한 1천킬로미터급 양자키 분배를 달성하였다. 중국은 광학 양자칩 연구에서도 전 세계에서 앞장서 있으며, 대규모 양자컴퓨팅을 위한 세계 최대 규모의 광학 양자컴퓨팅 칩 개발에 성공하였다. 2018년 5월 15일, 상하이교통대학 양자실험실의 Jin xianmin 연구팀은 ‘펨토초 레이저 기술’을 통해 49×49의 노드 수를 가진 3차원 광학 양자컴퓨팅 칩을 제조하였다.

중국정부의 양자정보 분야에 대한 강력한 정책추진 및 전폭적 투입에 힘입어 양자정보 발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과기부와 중국과학원은 자연과학기금, 중점연구개발계획 및 전략적 선도성 특별프로젝트를 통한 양자정보과학연구 지원, 중대과학기술프로젝트 입안 및 국가실험실 설립을 통해 기초이론 및 응용연구를 추진 중이다. 지난 2018년 5월, 시진핑은 양원원사 학술회의에서 ‘양자정보, AI, 이동통신, 사물인터넷, 블록체인을 포함한 차세대 IT기술의 연구 강화 및 응용돌파’를 주문한 바 있다. 허페이에 916억 달러를 투입해 37만㎡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양자정보기술중점연구소가 2020년에 완공됨에 따라 양자정보발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중국의 양자정보 기술개발 등 동향파악에 대한 주시가 필요하다.

목차

Ⅰ. 배경

Ⅱ. 양자정보 육성정책

Ⅲ. 양자정보 연구개발 현황

Ⅳ. 전망 및 시사점

이미지출처 : https://www.sohu.com/a/251441746_465915?qq-pf-to=pcqq.group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는 한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북경시 조양구 주선교로 갑12호 전자과학기술빌딩1308호 (100016) Tel: 86-10-6410-7876, 7886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