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주간동향
- 기술전략 과기부 등 부처,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전략 2035」 발표 □ 2035년까지 기후변화 모니터링·예방 능력 국제 선진수준 달성(6.14) ○ 생태환경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과기부 등 17개 부처는 공동으로「국가 기후변화 대응 전략 2035」를 발표 - ′35년까지 기후위험관리와 예방체계 구축 및 기후변화 대응능력 향상으로 기후대응형 국가 실현 - 주요기후 재난 위험 효과적 예방 및 기후변화 대응 기술· 표준 체계 완성 ○ 중점 추진 과제로 기후 변화 모니터링·위험 관리를 강조하고, 자연·경제사회 생태계 대응 및 전국 8개 권역과 베이징/톈진/허베이, 장강경제지역, 웨강아오대만구, 장삼각, 황하강 등 중대 전략지역 과제를 포함 1) 기후변화 모니터링 및 관리 - 기후변화 관측망 개선, 기후변화 모니터링 강화, 예보 및 조기 경보, 기후변화 영향·위험 평가 강화, 재난 예방 강화 2) 자연생태계 및 경제사회 생태계 - (자연생태계) 수자원·육지생태 시스템의 모니터링체계 구축, 해양 생태환경 개선 - (경제사회생태계) 농업 기후 자원 이용률 향상, 도시 인프라시설 안전 운영과 홍수 예방 3) 징진지(베이징·톈진·허베이), 장강삼각주, 웨강아오대만구 등 주요 전략지역 위험관리 - (징진지) 빗물 이용 기술 및 해수 담수화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극한 기후 사태의 모니터링·조기경보를 강화하여 해당 지역의 과학기술, 교육 자원을 이용해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 추진 - (장강삼각주) 기후 변화 위험 모니터링 및 기후 거버넌스 기술 디지털 플랫폼, 고온 폭염 및 기후 민감 질병 모니터링 응급 대응 플랫폼을 설립하여 극한기후사태 대응 - (웨강아오대만구) 웨강아오 생태 및 생물 다양성 보호, 태풍·해양 재해 모니터링·조기경보 체계 구축 및 주강저수지 용량확대와 습지 기능을 활용한 열섬(heat island) 현상 해소 <참고자료> 国家适应气候变化战略 2035 http://www.gov.cn/zhengce/zhengceku/2022-06/14/5695555/files/9ce4e0a942ff4000a8a68b84b2fd791b.pdf 2022-06-24
- 지역 시안 하이테크산업단지, ‘백만인재계획’ 뉴딜정책 발표 □ 시안 하이테크산업단지는 ‘백만인재계획’ 뉴딜정책을 발표해 향후 3년 내 광전자, 스마트제조 및 신에너지소재 등 기간산업 발전에 필요한 첨단기술 혁신형 고급인재 1만 2,000명을 유치(6.8) ○ 인재 유형을 최고급인재, 리더급 인재, 해외 창업인재, 신진과학자 및 대학졸업생으로 구분하고 인재 유치 규모를 100만명 수준으로 확대하여 대폭적으로 지원할 예정 - (최고인재급) 최고 1억 위안의 프로젝트 경비와 200만 위안의 주택 보조금 지원 - (리더급) ‘백만연봉 인재유치 공고’와 ‘포닥 수요 리스트’를 정기적으로 발표 * 화웨이, ZTE, OPPO 등 5개 기업이 알고리즘 엔지니어, 의료데이터 전문가 등 100개의 100만 연봉 일자리 공개 - (연구원급) 연간 20개의 ‘차보즈’기술 연구진을 선별하고 최고 500만 위안 장려 <참고자료> 西安高新区发布人才新政助力秦创原建设 https://baijiahao.baidu.com/s?id=1733720070209881663&wfr=spider&for=pc 2022-06-24
- 기업 바이두, AI 인재 양성을 위한 ‘다궈즈장(大國智匠)’ 프로그램 발표 □ 다궈즈장(大國智匠)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농촌 발전을 촉진(6.11) ○ 바이두는 직업교육대학의 교사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AI 교육훈련, 실천기회 제공 및 프로젝트 인큐베이팅 등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 - 농업, 임업, 제조업, 농촌, 무형문화재 등 10개 중점 분야 직업교육대학 교사에 대한 교육훈련을 우선적으로 실시해 인공지능교사 부족난 해결 * ′19년 이후 중국 내 1,016개 직업교육대학에서 인공지능기술서비스(응용) 전공 설치 - 직업교육대상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AI 교육과정’과 ‘AI 인재양성소’ 등을 운영해 AI 기술응용이 가능한 복합형 기술인재 양성 - ‘다궈즈장’ 장려펀드를 마련하여 교사들의 AI 응용프로젝트 인큐베이팅 지원 <참고자료> “大国智匠”计划发布,“AI+高职”推动数字乡村建设 https://www.sohu.com/a/556215627_119038?spm=smpc.tag-page.fd-news.20.1655189684663KG5Qpo7 2022-06-24
- 통계 중국 제조업 발전현황 및 전망 □ 제조업은 중국 실물경제의 중요한 기반으로 디지털화·지능화와 녹색성장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5.23) ○ ′21년 기준 중국은 세계 최대 제조업 허브의 지위를 12년 연속 유지해 왔으며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성장 중 - 지난해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는 4.23만 억 달러(5,450억 7,780만 원)에 달해 GDP의 27.4%를 차지하고 하이테크 제조업과 장비제조업 생산이 전년 대비 각각 18.2%, 12.9% 증가 - 이미 세계 최대 규모 산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태양광, 신에너지 자동차, 가전제품 및 스마트폰 산업망 내 국제 경쟁력 확보 ○ 최근 중국은 제조업에 대한 R&D투입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1년 글로벌 혁신지수(GII) 세계 12위를 차지 - 이 중 국방(25.30%), 기계설비(19.30%), 전기설비(19.10%), 바이오의약(16.60%), 경공업(8.50%) 등 분야별 R&D 투입 규모 급성장 - 그 외 중국 혁신능력 향상을 위한 제조업 혁신시스템을 구축하고 중국 내 국가급·성급 혁신센터 200여개를 설립 ○ 향후 중국은 ‘3060 탄소중립·탄소피크 목표’ 달성을 위한 친환경제조 발전에 주력할 전망 - 주요 내용으로 친환경 디자인 이론과 방법연구 강화, 친환경 기술과 장비 개발, 친환경제조 서비스플래폼 구축, 차세대 지능화 제조기술 개발 등 4대 중점방향을 제시 - 친환경 제조 실현을 위하여 중국 제조업은 에너지절약, 탄소배출 메커니즘 구축, 저탄소에너지활용, 탄소중립산업발전 등 추진 전망 <참고자료> 《中国制造业行业研究报告》发布 https://mp.weixin.qq.com/s/F2zbej0Z1gJyO14UqIt6rA 2022-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