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학기술대학, 다중 모드 양자 장시간 저장 구현 | ||
|
||
□ 다중 모드 양자 상태의 장기 저장 성공으로 고용량 양자 네트워크 구축 실현 가능(11.10)
○ 중국과기대 궈광찬(郭光燦)원사 연구팀은 장기 다중모드 양자방향으로 새로운 성과를 실현
- 장거리 양자 통신의 구현은 양자 메모리가 핵심으로, 광자의 양자생태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원자 앙상블의 효과 및 일관된 스펙트럼으로 양자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높음
- 기존 다중모드 메모리를 양자 네트워크에 연계하면 채널 용량이 커져 다중모드 양자 메모리 구현이 가능하나, 저온 원자 앙상블을 기반으로 한 장기 공간 다중 모드 저장에는 한계가 존재
○ 각각 2개의 3차원 궤도각 운동량 중첩상태를 연구를 통해 저장시간이 확장될수록 메모리 기능 효율이 더욱 높아지는 점을 발견하여 다중모드 광자 상태 장시간 저장이 가능해짐
- 광자 궤도각 운동량 자유도에 기반한 고차원 다중 모드 광자 상태 유지
- 다중 모드 양자 상태로 장시간 저장으로 고용량 양자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
![]() <참고자료>
我国科学家实现多模量子态的长时间存储,对高容量量子网络构建具有重要意义
|
기술동향
한중 과학기술 협력 정보 및 교류 플랫폼의 선두에 앞장서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