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업신식화부, ′25년도 중점 과제 제시 | ||
|
||
|
□ 공업신식화부는 ‘공업·정보화 업무 회의’를 개최하여 ′24년 주요 성과를 발표하고 ′25년도 12대 중점 과제를 제시(24.12.27)
○ (2024년 성과) 중국 전체 공업·정보화 분야는 규모 이상 공업 증가율이 전년 대비 5.7% 상승, 국가 산·금융 협력 플랫폼을 통해 기업에 지원된 자금은 1조 위안(약 199조 3,600억 원)을 초과
* 규모 이상 공업 증가율은 연간 영업 수입이 2,000만 위안(약 39억 6,180만 원) 이상인 공업 기업(국유 공업 기업 포함)의 부가가치 증가율을 의미함
![]() ○ (2025년 과제) 이번 회의에서는 ‘공업 경제 성장’, ‘산업 사슬의 고품질 발전’, ‘기술 혁신과 산업 융합’, ‘전통 산업의 현대화’, ‘신흥·미래 산업 육성’을 포함한 12대 중점 과제를 제시
![]() ○ 특히 ‘기술 혁신과 산업 융합’, ‘신흥·미래 산업 육성’, ‘정보화와 공업화 융합’은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발전을 주도할 핵심 분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 방안이 아래와 같이 발표
1. 기술 혁신과 산업 융합
- ‘국가 과학기술 중대 프로젝트’를 통해 산업 발전을 이끌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도약기업’과 ‘유니콘 기업’을 포함한 고성능 기업의 체계적 육성을 추진
* 국가 과학기술 중대 프로젝트는 중국 과기부가 주도하는 연구개발 계획으로, 2006년 처음 도입되어 인공지능, 양자 정보, 집적회로 등 주요 분야에서 기술 발전과 인재 양성을 선도하고 있음
**도약기업(Gazella Company)은 창업 초기 고속 성장과 강한 혁신력을 보유한 기업이며, 유니콘 기업은 설립 10년 이내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을 달성한 비상장 기업임. ′22년 말 기준, 중국은 각각 218개, 375개를 보유하여 세계 2위를 기록
- 국가 제조업 혁신 센터와 산업 기술 공공 서비스 플랫폼, 국가 기술 거래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첨단 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적극 지원
2. 신흥·미래 산업 육성
* 신흥 산업은 기술 혁신과 개발 수요를 기반으로 한 정보기술, 바이오 의약, 신소재 등 첨단 분야를 포함하며, 미래 산업은 메타버스, 양자 정보, 바이오 제조 등 선도적이고 혁신적인 분야를 의미함
- 제조업의 신기술, 신제품, 새로운 응용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시범 사업을 추진하며, 커넥티드카와 베이더우(北斗) 시스템 활용 및 저고도 정보 인프라 구축을 확대
- 바이오 제조, 양자 산업, 원자 단위 제조 등 혁신 과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관련 정책을 신속히 마련하여 미래 산업 발전의 기반을 강화
3. 정보화와 공업화 융합
- 향후 3년 내 고수준의 디지털 단지 200개를 조성하고, 업종별로 특화된 ‘디지털 전환 촉진 센터’를 구축하여 제조업의 디지털화와 스마트화를 촉진
- ‘인공지능+제조’ 행동 계획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기술 및 활용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며, 첨단 컴퓨팅 산업 체계 구축을 가속화
* ‘인공지능+제조’ 행동은 2024년에 공업신식화부가 주도로 인공지능 기술을 제조업에 적용하여 산업의 디지털화와 스마트화를 촉진하는 정책임
<참고자료>
(24.12.27,工信微报) 全国工业和信息化工作会议在京召开
(25.1.1,人民政府网) 工业和信息化部召开全国信息通信监管工作会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