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주간동향
- 기술전략 과기부, ‘인공지능 주도형 과학연구’ 프로젝트 추진 □ 과학기술부는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新一代人工智能發展規劃)’에 따라 인공지능 연구프로젝트, 플랫폼, 인재 등의 요소를 통합하여 ‘인공지능 주도형 과학연구(AI for Science)’ 추진(3.27) ○ 인공지능(AI) 기반 과학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에 없던 방식으로 다양한 분야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연결 - 컴퓨터, 데이터, 재료, 화학, 생물학 및 기타 분야의 교차 통합이 필요하고, 수학과 물리학 등의 기본 분야보다 심층적인 이론 구성 및 알고리즘 설계가 필요 - 과학 기술 혁신 2030- ‘차세대 인공지능’ 의 두 번째 5개년 구현 단계(2023-2027)로 체계적인 시스템과 지원을 강화하고 새로운 이론과 모델 연구 촉진 ○ 수학, 물리학, 화학 및 천문학 등 기본 학문의 핵심 문제를 결합하고, 신약개발, 유전자 연구, 생물육종, 신소재와 같은 핵심 분야 연구에 중점 - 신약 개발과 유전자 연구에 경우 AI기술을 활용한 과학연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데 이는 연구개발 과정에서 인력, 물적 자원 및 시간적 투자를 줄이고 약물 개발 성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 ○ 새로운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및 특수 플랫폼 연구 및 개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컴퓨팅 기술 업그레이드, AI 기술기반 과학연구를 위한 오픈소스 및 개방형 혁신 생태계 형성 - 국가 차세대 AI 공공 컴퓨팅 파워를 위한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플랫폼 구축을 가속화 - 고성능 컴퓨팅 센터와 지능형 컴퓨팅 센터의 통합을 지원 - 녹색 에너지와 저탄소화를 장려하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컴퓨팅 기술의 업그레이드를 촉진 - 사용자가 비즈니스와 관련된 기술적 요구 사항과 과학적 문제를 탐색하고 모델 연구 및 알고리즘 혁신에 참여할 수 있도록 데이터 및 리 소스를 적극적으로 개방 ○ 일선 과학 연구원에게 우선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고, 수학, 물리 등 과학 분야 연구자가 AI 기술기반 과학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 기본 원리와 문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 - 학제 간 연구개발팀으로 구성된 AI 기술 혁신 연합체를 설립하고, 국제 학술 교류 플랫폼을 구축하여 암 진료, 기후 위기 대응 등 인류 공통의 과학적 과제 해결 추진 - AI 기술기반 과학연구 개발 과정에서 과학적 연구 윤리 규범에 주목 - 본 프로젝트는 AI 기술 기반의 첨단 과학연구를 지원하는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고 중국 과학연구 패러다임의 변화와 능력 향상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 <참고자료> 科技部启动人工智能驱动的科学研究专项部署工作 https://mp.weixin.qq.com/s?__biz=MzI3NDI5MjI4OQ==&mid=2247750130&idx=1&sn=c272e385081001adc9f92fb388f0f292&chksm=eb1b1adcdc6c93ca48100cb66a092f64be69b668aa7c42b904fadeb32369fb6f260a5974a5f7#rd 权威专家详解科技部“人工智能驱动的科学研究”专项部署工作 https://mp.weixin.qq.com/s/lbohM7cdEzuB7wamlITjKw 2023-03-31
- 기초연구 과기부, 2022년도 중국 10대 과학성과 선정 □ 과학기술부 기초연구관리센터는 수리학·천문학, 화학·소재·에너지, 지구환경 및 바이오의학 등의 분야에서 2022년도 중국 10대 과학성과를 발표(3.18) 1) 탐사차량 주롱호(祝融號)를 통해 화성 유토피아 평원의 지층 구조 규명 - 중국과학원 지질·지구물리연구소 천링(陳海) 연구진은 주롱호 탐사차량이 촬영한 저주파 레이더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토피아 평원 남부의 80m 깊이 지층 구조와 지각 물질 정보를 획득 - 화성의 물 존재 단서를 제시하고, 지표성분, 물질 유형, 지질구조와 기상환경 등에 대한 자료 제공 2) FAST 전파망원경으로 빠른 전파 폭발(Fast Radio Burst, FRB) 포착 - 중국과학원 국가천문대 리디(李菂) 연구진은 FAST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FRB를 포착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현재까지 가장 큰 FRB 편광 샘플 획득 3) 해수 직접분해 ‘수소생산장치’ 개발 - 선전대학의 셰허핑(谢和平) 연구진은 분자확산, 계면 상평형 등의 물리역학 과정과 전기화학 반응을 결합하여 해수를 직접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개발 4) 코로나19 바이러스 돌연변이 특징과 면역 탈출 메커니즘 규명 - 베이징대학의 차오윈룽(曹云龙) 연구진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종과 새로운 하위 변이체의 체액성 면역 탈출 메커니즘과 돌연변이 진화 특성을 규명 5)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 난징대학 톈하이런(谭海仁) 연구진은 원소 조성 제어를 통해 전하 확산 길이를 향상 시킨 좁은 밴드갭의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도입하여 셀 효율을 크게 향상 6) 새로운 원리의 스위치 개발로 데이터 대량 저장 기술방안 제시 - 중국과학원 상하이마이크로시스템·정보기술연구소의 숭즈탕(宋志棠) 연구진은 단일질 텔루륨과 질화티타늄 전극의 계면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스위치 장치를 발명 7) 초저온 삼원자 분자의 양자 위상제어 합성(coherent combining)을 실현 - 중국과학기술대학의 판젠웨이(潘建伟) 연구진은 무선주파수 분리 기술을 이용하여, 삼원자 분자를 나트륨 칼륨 분자와 원자로 분리하여 삼원자 분자 분리 스펙트럼을 획득 8) 마일드 압력 조건에서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합성 - 샤먼대학 셰쑤위안(谢素原) 연구진은 풀러렌(fullerene) 변성 구리 촉매를 개발하여, 마일드 압력 조건에서 디메틸 옥살레이트(dimethyl oxalate)를 이용해 에틸렌글리콜 합성 9) 펨토초 레이저로 복잡한 시스템의 마이크로 나노구조를 유도하는 새로운 메커니즘 발견 - 저장대학의 츄젠룽(邱建荣) 연구진은 펨토초 레이저가 마이크로 나노구조 형성을 유도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하여 펨토초 레이저의 3차원 극한 제조의 새로운 원리를 제시 10) 초전도 상태 ‘페르미면(Fermi surface)’ 구현 - 상하이 자진펑(贾金锋) 연구진은 위상부도체·초전도체 헤테로 접합 시스템을 설계·제작해 쿠퍼 폐어 운동량으로 인한 ‘페르미 면’을 구현·관찰하여 물질의 상태를 조절하고 새로운 위상 초전도 구축 방법을 제시 <참고자료> 祝贺!中国科学十大进展发布 https://mp.weixin.qq.com/s/fUABBMS-DyXkH3EoTL5Odg 2023-03-31
- 지역 베이징, ‘웹 3.0 산업혁신 발전 업무계획(′23~′25)’ 발표 □ 베이징시는 「베이징 웹 3.0 산업혁신 발전 업무계획(′23-′25)」을 통해 국제 영향력을 갖춘 웹 3.0* 산업거점 및 디지털 경제 도시 구축 계획 발표(3.20) * 웹 3.0은 컴퓨터가 시맨틱 웹(semantic web) 기술을 활용하여 웹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웹을 의미함 ○ 베이징시 과학기술위원회, 중관촌관리위원회, 경제·정보화국은 공동으로「베이징 웹 3.0 산업 혁신발전 업무계획(′23-′25)」 발표 - (주요목표) ’25년까지 웹 3.0 기반 핵심기술 개발 및 국산화, 공통 기술 지원 플랫폼 구축, ‘인터넷 3.0+’ 벤치마킹 시범사업 구축 등을 통해 웹 3.0 기술 혁신 생태계를 조성 - 전세계적으로 인터넷의 새로운 형태인 ‘웹 3.0’이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음 * 상하이시는 ‘디지털 경제 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을 통해 △웹 3.0 인프라 배치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기술 연구개발(R&D) △애플리케이션 혁신 등을 발표 ** 베이징 스징산(石景山)구는 ’25년까지 웹 3.0 관련 사업이 100억 위안(약 1조 8천 198억 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도록 지원 ○ 핵심기술연구로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고성능 컴퓨팅 칩 등 웹 3.0 관련 6대 기술 강조 ○ 공통 기술지원 플랫폼으로는 이기종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컴퓨팅 플랫폼, 3D렌더링 플랫폼, 디지털 자산 유통 서비스 플랫폼, 라이트 필드 이미징 컴퓨팅 플랫폼, 광학 장치 처리 플랫폼 등을 포함 ○ 도시, 공업, 산업, 소비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웹 3.0 플러스(+)’ 시범사업 구축 <참고자료> 北京市科学技术委员会、中关村科技园区管理委员会 北京市经济和信息化局 关于印发《关于推动北京互联网3.0产业创新发展的工作方案(2023-2025年)》的通知 http://kw.beijing.gov.cn/art/2023/3/17/art_736_639986.html 2023-03-31
- 혁신체계 과기부 화거센터, 신설 혁신 산업클러스터 선정 □ 과학기술부 화거센터는 ‘2022년도 혁신형 산업클러스터 시행(육성)에 대한 공지’에서 46개 신설 혁신 산업클러스터 목록을 발표(3.21) ○ 과기부 화거센터는 ′22년도 46개 신설 혁신 산업클러스터 목록을 발표 - ′11년부터 지역 혁신 시스템 건설을 중심으로 ‘혁신형 산업클러스터 구축 사업’ 시작 - ′23년 2월 기준으로 전국에 193개의 혁신산업클러스터가 있고, 이 중 약 80%(150개)가 122개 국가 하이테크 구역에 위치 ○ 중국 각지에서 바이오의약, 인공지능, 집적회로, 신소재산업 등 전략적 신흥산업에 집중하여 혁신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해 더욱 노력 1) 장쑤성(江蘇省) - 쑤저우(蘇州)는 ‘자동차 전자 및 부품 산업 혁신 클러스터 행동 계획(2023-2025년)’을 발표하여 ′30년까지 1조 위안 규모의 자동차 산업을 육성 - 우시(無錫)는 ‘중점 산업 클러스터 건설 가속화에 관한 시행 의견’을 발표하여 사물 인터넷, 집적회로, 바이오 의약품,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 등 4개 산업클러스터 기능을 강화 2) 선전시(深圳市) - ‘바이오 의약 산업클러스터 고품질 발전 촉진 조치’를 발표하여 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등 첨단 바이오 제품을 중심으로 자금, 인력, 정부 서비스 지원을 마련 - 국가중점실험실, 국가 연구센터 등 국가급 혁신 플랫폼을 중심으로 최대 3,000만 위안 지원, 국가기업기술센터를 대상으로 최대 1,500만 위안 지원 <참고자료> 世界级创新型产业集群加速崛起 http://www.chinahightech.com/html/hotnews/yaowen/2023/0321/5665376.html 科技部火炬中心关于2022年创新型产业集群的公示 http://www.chinatorch.gov.cn/kjb/gsgg/202302/e67eaa88773d4f5bb3f513479f99284f.shtml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