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페이퍼 2023.3호
한·중 CCUS 기술동향 비교
한국과 중국은 CCUS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결과를 창출하고 있다.
향후 양국이 협력하여 분리정제기술과 융합된 CCUS기술을 확보하여 녹색기술 선두국가로 나아가는게 필요하다.
이슈페이퍼 2023.2호
<디지털중국>과 <국유기업개혁>, 그리고 ‘십년마일검’
첨단기술 분야에서 미국으로부터 강한 규제와 압박을 받고 있는 중국은 ‘차보즈 기술’(목 죄는 기술) 문제를 ‘십년마일검’의 중장기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디지털 중국> 추진과 <국유기업 개혁>도 ‘십년마일검’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데 궁극적으로는 우리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정밀한 내용파악과 분석이 필요하다.
자세히 보기
이슈페이퍼 2023.1호
한·중·일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미래 설계
한중일 3국은핵심 공동연구와 연구자간 교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과학기술 교류 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가야 한다.
이슈페이퍼 2022.4호
중국의 기술거래 현황 및 기술협력 방향
중국의 기술시장 규모는 작년 한해 총 50만건의 거래를 성사시켰으며,
특허권 양도, 특허권 실시, 비밀계약등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해외외국기업과의 거래도 빠르게 증가되고 있어,
향후 중국과의 기술 거래를 위한 중국 현지 리빙랩 역할 및 국내 온라인 플랫폼 개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슈페이퍼 2022.3호
중국 양자정보기술 연구개발 동향
양자혁명 2.0시대에 중국은 국가안보와 미래를 좌우할 양자정보기술 선진강국으로 급부상하면서
2025년에 이르러 중국내 양자통신시장 규모 1천억 위안(약 19조160억 원) 을 돌파할 전망이다.
과학기술 주간동향
- 기술전략 시진핑, 새로운 질적 생산력 발전 제시 □ 新 노동력, 新 노동대상, 新 노동도구 및 新 인프라 제시 (11.17) ○ 인민망(人民網)은 신즈생산력의 특징, 중점 발전 방향 및 향후 추세에 대해 분석 - 시진핑 주석은 ‘23년 9월 헤이룽장 시찰 시 과학기술혁신 자원을 통합해 전략적 신산업과 미래산업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질적(新質)생산력’을 형성할 것을 처음으로 강조 * 신즈생산력은 분야가 새롭고 기술 함유량이 높으며 과기혁신이 주도적 역할을 발휘하는 생산력을 말함 - 중국은 ′22년말 기준 차세대 정보기술, 첨단제조, 신에너지자동차 등 전략적 신산업의 GDP 대비 비중이 13%를 초과하고 전략적 신산업 클러스터 수는 66개로 집계 - ‘2023년 글로벌 혁신지수(WIPO)’ 중 중국은 상위 12위를 차지하고, 글로벌 5대 과기클러스터 중 3개 부분을 차지 ○ 향후 新 노동력, 新 노동대상, 新 노동도구와 新 인프라에 기반해 전략적 신산업과 미래산업을 전격 육성할 예정 - 전략적 신산업으로 차세대 정보기술, 바이오기술, 신에너지, 신소재, 첨단장비, 신에너지자동차, 그린 환경보호 및 우주·해양산업 등 제시 - 미래산업으로 뇌모방 지능, 양자정보, 유전자기술, 미래 네트워크, 심해·우주개발, 수소에너지와 에너지저장 등 선행 과학기술 분야에서 미래산업 인큐베이팅 및 육성 제시 <참고자료> 【图解】打造新优势 加快形成新质生产力 https://mp.weixin.qq.com/s/QHdGKZQdJYtxh2WoEUtS1Q 2023-11-24
- 지역 상하이, ‘상용 우주산업 발전 액션계획’ 발표 □ ′25년까지 상용 로켓 50개 및 상용 위성 600개의 연간 생산역량 형성(11.20) ○ 상하이시 정부는 ‘상용 우주산업 발전 액션계획(′23~′25년)’을 발표하고 ′25년까지의 발전 목표를 제시 - 위성 제조, 운반로켓, 지상시스템설비, 우주정보 응용 및 서비스 등 중심으로 위성통신·항법·원격제어 일체화와 우주-지상 정보네트워크 일체화 융합 촉진 - ‘액체산소+메탄’ 추진력, 재활용 로켓, 해상 플랫폼 발사, 위성 네트워크 통신 등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로켓 50개 및 상용 위성 600개의 연간 생산역량 형성 - 거버넌스, 경제 및 라이프 3대 분야에서 우주기술과 데이터 서비스 응용방안 30개를 형성하고, 우주정보산업 특색산업단지 8개를 구축 - 중점 우주기업 10개와 창업판 증시 상장여건을 갖춘 기업 5개를 육성하고, 우주정보산업 규모를 2000억 위안(36조 1,160억원) 수준으로 확대 ○ 주요 과제로 기초역량 향상, 핵심기술 개발, 규모화 및 혁신시범 응용, 생태계 등 3대 방향을 제시 <참고자료> 上海:到2025年,形成年产50发商业火箭、600颗商业卫星的制造能力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5359532 2023-11-24
- 인재 2023년도 중국 ‘양원’ 원사 명단 발표 □ 2023년도 양원 원사 중 한국인 과학자 2인 선정(11.23) * 중국과학원 원사는 1949년, 중국공정원 원사는 1994년부터 설립되었고, 2년마다 선발하는 중국 최고의 학술 명예 자격임 1) 중국공정원 ○ 현재까지 누적된 중국공정원 원사 총 978명, 그 중 외국 국적 원사는 124명을 임명 - 새로 임명된 원사 74명의 분야는 기계・운반 공정(10명), 정보・전자 공정(10명), 화학 공정・야금・재료 공정( 9명), 에너지 광업 공정(8명), 토목・수리・건축 공정(8명), 환경・경공업 방직 공정학부(8명), 농업(10명), 의약·위생(11명)으로 구분 - 평균 연령은 58.2세, 최고령은 76세, 최연소는 48세이며 60세 이하가 81.1%를 차지 - 한국인 중 김기남 한국공학한림원 회장과 이상엽 한국생물공학회장이 원사로 선출 2) 중국과학원 ○ 현재까지 누적된 중국과학원 원사는 총 873명, 그 중 외국 국적 원사는 154명을 임명 - 올해 새로 임명된 원사 59명의 분야는 수학・물리학(10명), 화학(10명), 생명과학・의학(11명), 지질학(8명), 정보과학 기술학(8명), 기술과학부(12명)로 구성 - 평균 연령은 54.7세, 최고령은 65세, 최연소는 45세이고, 60세 이하가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특히 여성 원사 5명을 선발 <참고자료> 2023年两院院士增选结果公布!(附名单) https://mp.weixin.qq.com/s/oar-LbZXKiFWpmegHhFVIA 46人当选2023年两院外籍院士 https://www.163.com/dy/article/IK7OQORU0514CDBK.html 2023-11-24
- 기업 선전시, ‘벤처투자 고품질 발전 촉진 정책’ 발표 □ 선전 증권거래소 자본시장 건설 및 우수 벤처투자기업의 상장 지원 (11.17) ○ 선전시 금융감독관리국은 ‘벤처투자 고품질 발전 촉진 정책’을 발표 - 선전시는 중국특색 사회주의 선행시범구 종합개혁실험 실시방안(′23~′25년)에 따라 국제벤처투자센터를 육성하기 위해 본 정책을 발표 - 주요 목표로 선전시 7대 전략적 신흥산업과 8대 미래산업 등 핵심 분야 투자 집중도를 높이고 ‘기초연구+기술개발+기술이전+과기금융+인재’ 등 전체 과정의 혁신생태계 개선 제시 ○ 주요 과제로 시장접근 및 거버넌스, 시장주체, 모금·투자·관리·퇴출, 국제화 비즈니스 환경 등 4대 방향 제시 - 벤처투자 기업의 등록 자본금은 1억 위안 이상, 납입 자본금은 5,000만 위안 이상 요구 - 사모펀드 기업의 납입 자본금은 1,000만 위안 이상, 자산관리 규모는 1억 위안 이상 요구 <참고자료> 深圳:支持深交所资本市场建设,探索优秀风投创投企业上市安排 https://www.thepaper.cn/newsDetail_forward_25332305 2023-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