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연구개발(R&D) 인력 현황 | ||
|
||
|
정리(miouly@naver.com)
□ (중국 R&D 인력 현황) 중국은 세계 최대 R&D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고급 연구 인력 비중이 42.1%로 주요국 대비 낮아, 양적 성과를 넘어 질적 고도화가 필요한 상황임
○ ′21년 기준, 중국의 R&D 인력은 총 858.1만 명, FTE 기준(Full-Time Equivalent/실질연구참여인력) 571.6만 명으로 세계 1위를 유지
* 연구개발업무를 근무시간의 1/2을 하는 사람의 FTE는 0.5명으로 계산함
- 중국의 R&D 인력(FTE 기준)은 2021년 571.6만 명으로 크게 증가하며 연평균 9~10%의 성장률을 기록
![]() - 중국의 R&D 인력(FTE 기준)은 ′13년부터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R&D 연구원(FTE 기준) 비중은 42.1%에 그쳐 한국(81.9%) 및 일본 등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임
* R&D 연구원은 지식·제품 등을 창출하는 전문 인력으로, 주로 중급 이상 직함이나 박사 학위를 보유한 인력을 말함
![]() □ (고급 인재 육성) 국제 과학자 영향력 강화, 이공계 졸업생 증가, 박사 후 연구자 배출, 인재 프로젝트 지원 등을 통해 고급 연구 인력의 질적 고도화를 추진
○ (과학자 영향력) ′22년 클라리베이트(Clarivate)가 발표한 ‘세계 고피인용 연구자(HRC)’ 명단에서 중국 내륙 출신 과학자 1169명이 선정되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
* HRC는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지난 10년간 자신이 속한 연구 분야에서 상위 1%에 해당하는 Highly Cited Papers를 다수 저술한 연구자들이 선정됨
- ‘2022년 중국과기논문통계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학자가 농업과학·재료과학·화학·컴퓨터과학·공학기술 분야에서 발표한 국제 논문의 피인용 횟수는 세계 1위를 기록
○ (고급 인재 육성) 교육부에 따르면 ′21년 기준으로 중국 이공계 대학교·석·박 졸업생 수는 총 250.9만 명으로, 연평균 3.4% 증가
- 이 중 박사 졸업생은 5.7만 명으로 연평균 6.3%의 높은 성장세를 보임
- 박사 후 연구자는 총 28만 명이 배출되었으며, 이 중 150명이 중국과학원·공학원 원사로 선정
![]() ○ (인재 프로젝트)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는 R&D 인력을 대상으로 청년과학기금, 우수신진과학기금 등 프로젝트를 통해 자금 지원을 제공
- ′20년~′22년까지 총 74,765건의 인재 프로젝트를 시행했으며, 총 투자액은 319.74억 위안에 달함
![]() □ (청년 인재 육성 추진) 중국은 젊은 연구자 지원을 강화하고 주요 프로젝트와 기초연구에서 청년 인재의 역할을 확대하며, R&D 인력의 질적 고도화와 세대 교체를 동시에 추진
○ 중국 정부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젊은 인재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
- 국무원은 주요 프로젝트 리더 및 핵심 멤버 중 40세 이하 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명시
- 중앙정부는 35세 이하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초연구 기금을 우선 배분
- 일부 대학과 연구기관에서는 35세 이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비를 연간 예산의 50% 이상으로 확대
○ ‘중국과기인재보고(2022)’에 따르면, 국가 과학기술 중점 R&D 계획 참여 인력 중 45세 이하 연구자가 80% 이상을 차지
- ′20년 국가 과학기술 3대 상의 최연소 수상자는 과학기술진보상 25세, 자연과학상 38세, 기술발명상 43세로 기록
- ′23년 신규 선출된 양원 원사(중국과학원&중국공정원)의 평균 연령은 각각 54.7세(최연소 45세)와 58.2세(최연소 48세)로 나타났음
<참고자료>
(2023, 国家统计局) 中国科技统计年鉴
(2023,科学网) 中国科技部, 中国科技人才发展报告2022
(2023.8.27.国务院) 《关于进一步加强青年科技人才培养和使用的若干措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