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전자상거래 산업 발전 현황 | ||
|
||
|
우만주 (yumanshu87@naver.com)
□ (산업) 중국 상무부(商务部)가 발표된 ‘2022 중국 전자상거래 보고(′23.6월)’에 따르면 ′22년 기준 중국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43.83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
1) 온라인 판매(网络零售)
○ 중국은 11년 연속 세계 최대 온라인 판매 시장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온라인 판매는 중국 내수 소비를 이끄는 주요 엔진으로 부상
- (사용자) ′22년 기준 중국의 인터넷 쇼핑 이용자 수는 8.45억 명으로 전년 대비 319만 명 증가했으며,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79.2%를 차지
- (판매액) ′22년 온라인 판매액은 13.79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4% 증가했으며, 실물 상품 판매액은 11.96조 위안으로 전체 사회소비품 판매총액의 27.2%의 비중을 차지
![]() - (상점) 온라인 상점 수는 2,448만 개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으며 그중 실물 상품 상점 수는 1,319.3만 개로 17.7% 증가
- (품목별) 판매액 비중은 의류·잡화, 일상용품, 가전·음향 순으로 각각 22.62%, 4.62%, 10.34%를 차지
- (지역별) 판매액 비중은 광둥 24.74%, 저장 15.36%, 베이징 11.91%, 상하이 11.49%, 장쑤성 7.91%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10개 지역의 비중이 86.91%에 달함
* 권역별 비중은 동부 83.92%, 중부 88.87%, 서부 5.73%, 동북 1.48%임
![]() 2)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跨境电商)
○ (규모) 중국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중국 해관총서 통계에 따르면 ′22년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B2B 포함) 수출입 총액은 2조 1,100억 위안(412조 원)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
* 그중 수출은 1조 5,500억 위안, 수입은 5,600억 위안으로 각각 전년 대비 11.7%, 4.9% 증가
![]() ○ (국가별) 중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국가별 수입액 비중을 살펴보면 일본이 11.6%로 가장 높고, 미국 11.1%, 한국 6.7%, 호주 6.3% 순으로 나타남.
- 중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수출 대상 상위 10개 국가는 미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호주, 베트남, 한국, 태국, 필리핀, 인도, 일본임
![]() ○ (품목별) 수입 품목의 거래액 비중은 화장품이 38.5%로 가장 높고, 식품 21.9%, 의류·잡화 12.5%로 상위 3개 품목의 거래액 비중이 72.9%에 달함
□ (정책) ′21년 10월 중국 상무부, 중앙 인터넷정보 판공실, 발전개혁위원회는 공동으로 ‘14·5 전자상거래 발전계획’을 발표하여 중국 전자상거래의 발전 로드맵을 제시
![]() - (기술 융합 추진) 5G,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블록체인, 가상/증강현실 등 차세대 정보기술과 전자상거래 분야의 융합 혁신 추진
- (디지털기술 투자 확대) 전자상거래 기업이 디지털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특허 출원과 보호를 강화하며, 기술성과의 브랜드화를 구축하는 데 주력
□ (인재)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의 확대에 따라 라이브 커머스, 실시간 판매 등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생겨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분야의 인재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 (규모) 중국 정부는 국가 직업 대전 분류에 ‘전자상거래 서비스 종사자’를 추가했으며, ′22년 중국의 전자상거래 관련 종사자 수는 6,937.18만 명으로 전년 대비 3.11% 증가
![]() ○ (분류) 전자상거래 전문 인재는 크게 기술직, 영업직, 관리직으로 나눔
- 직무별 주요 업무는 ▲기술직-소프트웨어·플랫폼 개발,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설계 등 ▲영업직-마케팅, 플랫폼 운영, 고객 서비스, 상품 운영, 미디어 운영, 공급망 관리 등,▲관리직-기업 내부의 기획, 자문, 조직, 관리·감독 등을 수행
○ (대학 교육) ′22년 중국 4년제 대학의 전자상거래 관련 학과는 662개로 세부 전공별로는 전자상거래 563개, 전자상거래와 법률 21개, 해외 전자상거래 78개로 집계됨
- 2년제 전문대학교의 전자상거래 관련 전공은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모바일 상거래, 온라인 판매와 라이브커머스, 농촌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과 응용 등으로 구분
- 개설 학교 수는 2,352개로 전년 대비 227개 증가
![]() <참고자료>
商务部 中央网信办 发展改革委关于印发《“十四五”电子商务发展规划》的通知
中国电子商务报告(20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