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바이오 발전 현황 | ||
|
||
|
조경매 (kmcho@kostec.re.kr)
□ (투입) 중국 정부는 ‘과기혁신 2030 - 중대 프로젝트’와 ‘국가 중점 연구개발프로젝트’를 통해 바이오 R&D를 추진
○ 장기프로젝트인 ‘과기혁신 2030- 중대프로젝트’('21년)는 바이오 분야에서 뇌과학 및 뇌모방, 종자 산업, 건강보장(만성 감염병) 등 3개 방향을 집중적으로 지원
- ‘뇌과학 및 뇌모방’ 중대프로젝트는 일명 ‘중국 뇌연구계획’으로 ‘21년 9월에 정식 가동하여 총 31억 4,800만 위안(5,536억 728만 원)의 예산을 투입
* 신진과학자 프로젝트를 설치하고 프로젝트당 최고 500만 위안(8억 7,815만 원) 지원
○ ‘국가 중점 연구개발프로젝트’('15년)는 최근 5년간 생명과학의 최첨단 분야인 뇌과학, 합성생물학, 페노믹스, 계산생물학, 유전자 및 세포 치료 등 분야 투자 확대
![]() □ (논문/특허) ′22년도 중국의 생명과학 분야 논문 수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225,258편)이며, 특허 등록 건수는 2019년부터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39,997건)를 유지하고 있음
- 2011~2022년까지의 중국 생명과학 논문의 연간성장률은 13.54%로 타 국가 대비 높은 편임
![]() - ′22년도 중국 내 생명과학 논문 수 상위 10위권의 연구기관은 중국과학원, 상하이교통대학, 저장대학, 중국의학과학원(베이징세허의학원), 푸단대학, 중산대학, 수도의과대학, 쓰촨대학, 베이징대학, 난징의과대학 순임
- 특허는 주로 범용기술인 효소 및 미생물 검사방법의 비중이 22%를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돌연변이·유전자공학(DNA, RNA 등)과 미생물 분야 비중이 각각 16%를 차지
* 고부가가치 의약품인 면역글로불린과 항체 신약도 8% 비중을 차지하면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클러스터) Springer Nature의 《2024 글로벌 생명과학 클러스터 혁신 발전 보고서》(′24.11월)에서 인재, 기초연구, 성과전환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베이징, 상하이, 쑤저우 등이 신흥 강자로 부상함
○ (인재) 생명과학 연구 인력은 주로 미국에 집중되어 있지만, 2019~2023년간 베이징의 연구 인력이 연평균 약 12% 증가하며 세계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상하이도 비슷한 성장세를 보임
○ (기초연구) 베이징은 합성생물학, 뇌과학, 페노믹스, 계산생물학, 유전자 및 세포 치료 등 5대 첨단 분야 모두에서 논문 수 기준으로 세계 1위를 차지, 상하이는 유전자·세포 치료 연구에 집중, 런던, 보스턴, 뉴욕은 주로 계산생물학과 유전자·세포 치료에 집중
○ (성과전환) 2019~2023년간 중관촌 생명과학단지가 위치한 베이징은 논문 인용 빈도가 약 6.3만 회로 가장 높았고, 뉴욕, 보스턴, 워싱턴에 위치한 클러스터의 총 인용 빈도는 5만 회를 초과
□ (산업) ′22년도 중국의 바이오의약산업 규모는 1조 6,586억 위안으로 증가하였고, ′23년에는 1조 7,977억 위안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 ′22년 한해 출시된 혁신 약품 수는 18종인데, 이중 바이오 약품 7종, 화학약품 7종과 중약 4종이 각각 포함되었으며, 이해 출시된 혁신 의료기기 제품 수는 55개로서 전년 대비 57.1% 증가
- 캉팡바이오(康方生物)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PD-1/CTLA-4 이중 특이성 항체 약품인 AK104는 전이성의 말기 자궁경부암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치료 약물임
- 롄잉의료(連影醫療)사는 뇌 소혈관 질환 및 퇴행성 질환 등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5.0T급 인체 전신 자기공명영상장치(uMR Jupiter 5.0T)를 개발
○ 중국은 최근 AI 기반 디스커버리(AIDD) 분야에서 우수한 디지털 생태계 기반, 컴퓨터 기반 신약 디자인(CADD)과 화학 및 바이오 분야 충족한 인재공급, 그리고 CRO 생태시스템과 규모화 임상 자원에 기반한 임상데이터 생성 효율성 덕분에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음
- ′22년에 중국 내 AI 기반 디스커버리(AIDD) 리더인 잉시즈넝(英矽智能)사의 신약개발 오더 규모가 세계 4위(약 12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최초로 10위권에 진입함
- 대표적인 디지털 생태계 기업으로 바이두, 화웨이 등이 있고, 임상기업으로 웨이즈쥔(未知君) 등이 있으며 CRO 기업은 야오밍캉더(藥明康德) 등이 있음
<참고자료>
中国科技部, 「2023 中国生命科学与生物技术发展报告」,科学出版社(2023.10)
中国科技部, ‘前沿生物技术”重点专项2022年度项目申报指南’
中国科技部, ‘生物与信息融合' 重点专项2022年度项目申报指南’
中国科技部, ‘干细胞与器官修复' 重点专项2022年度项目申报指南’
中国科技部, ‘合成生物学 ' 重点专项2022年度项目申报指南’
中国科技部, ‘常见多发病研究'重点专项2022年度项目申报指南’
Springer Nature('24.12), 「全球生命科学集群创新发展报告2024」
火石创造('23.7),'AI药物研发行业现状及发展趋势分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