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산당 중앙위원회 및 국무원, ‘박사과정생 교육의 고품질 발전에 관한 의견’ 발표 | ||
|
||
|
조경매 (kmcho@kostec.re.kr)
□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은 ‘박사과정생 교육의 고품질 발전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여 국가혁신시스템의 핵심 기반이 되는 박사과정생 교육 종합 개혁을 위한 체계적인 방향을 제시함(24.10.21)
○ (목표) 세계 일류의 박사과정생 교육 체계를 구축하고, 박사과정생 교육의 규모, 구조, 품질 및 효율성의 유기적인 통합을 추진해 2035년까지 “교육 강국”을 건설
- 국가 수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전공 설치, 육성 및 조정 메커니즘을 완비
![]() ○ 주요 과제로 공학 박사 비중 향상, 산학연 협력 강화, 박사과정생 모집 관리 및 양성 모델 개혁 등 방향을 제시함
1) 신흥과학 및 융합과학 분야 학과를 집중 육성과 공학 박사 비중 향상 필요
- 중국과학기술대학은 지난 5년간 박사 학위 수여가 가능한 5개의 1급 융합학과를 개설하였는데, 특히 2022년에 ‘나노과학과 공학’ 및 ‘행성과학과 탐사 기술’ 2개를 신설함
- 베이징대학은 현재 ‘의학+X’, ‘디지털화+’, ‘탄소 중립 핵심과학과 기술’ 등 13개의 융합학문연구센터를 보유하고 있는데, 특히 2021년에 생명과학, 나노과학 및 공학, 데이터 과학 및 공학, 인공지능 등의 학문을 융합한 박사 학위 수여가 가능한 융합학과를 개설함
* 국무원 학위위원회의「2023년도 석박사 학위 수여 자격을 갖춘 신규 학과 리스트」에 따르면, 박사 자격을 수여할 수 있는 학과는 총 831개 증설되었고, 이중 공학 전공의 학과는 351개를 차지
2) 산학연 협력 필요
- 중국과학기술대학은 우수한 엔지니어 양성 과정에서 과학기술 리딩기업과 연계하여 ‘사이버 보안’, ‘핵심 소프트웨어’, ‘핵과학 및 기술’, ‘신소재’ 등의 특정 분야를 중심으로 박사과정생을 공동으로 양성하고 있음
- 시안교통대학은 ‘서부 과학기술 혁신구역(创新港)’에 의존하여 국가의 수요와 기업의 과제 해결 요구를 박사과정생들의 능력 배양과 긴밀하게 연계하고 있음
- ′24년 9월, 교육부와 장쑤성 정부 주도로 중국 내 최초의 ‘지역성 대학 기술이전센터’를 설립, 현재 20여개 대학이 바이오의약, 정보통신, 첨단소재 등 분야 기업과 산학협력을 추진 중
3 ) 모집 및 양성 방식 고도화가 시급
- 서북공업대학은 미래 첨단 비행설비, 대형 항공기, 수중 영역 등 다양한 분야의 특별반을 운영해 해당 산업에서 이미 총괄설계사로 활동 중인 멘토가 지도하여 박사과정생을 양성하는 방식을 도입함
- 푸단대학은 인재 양성 모델에서 학부와 박사 과정을 연계하는 "우수 박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우수한 학부생 중 연간 약 180명을 학술 연구에 뜻이 있는 자로 선발하여, 바로 박사 학위 과정을 밟도록 하고 있음
- 시후(西湖)대학은 박사과정생 모집에서 양성, 평가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제도 혁신을 추진하였는데, 일례로 지원자의 신분에 대한 제한을 없애서 현재 학부 출신 박사과정생 비중이 50%를 상회함
* 특히 면접 과정을 매우 중시해 30분 중 절반의 시간은 지원자가 과거의 연구 경험에 대해 발표하는 데 할애
* 국제화된 교육 이념을 강조해 영어의 언어 표현, 글쓰기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연구에 대한 흥미에 대해 높은 기준
* 학생들은 두 명의 지도교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되며, 이를 '이중 지도교수 제도'라고 부르며, 학문 간 교차 지도를 받을 수 있음
□ 요약 및 시사점
○ 이번 정책은 중미 기술경쟁 등 배경 속에서 향후 학술형과 기술 전문형 박사에 대한 분류를 명확히 하고, 각기 다른 교육 방식과 평가 체계를 통해 학문적 발전과 산업적 요구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박사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국가 의지를 보여줌
- 해당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이미 중국과학기술대학, 푸단대학, 시후대학 등 일부 대학을 통해 다양한 시범과 시도가 이루어졌다는 점도 눈여겨 볼만함
<참고자료>
(24.10.22, 中国政府网)中共中央办公厅 国务院办公厅印发《关于加快推动博士研究生教育高质量发展的意见》
(24.10.21,中央新闻)推进交叉学科建设、探索校企协同培养……博士生教育最新部署一文了解
(23.12.19,红星新闻)大力发展博士专业学位 教育部:2023年我国应届博士毕业生达7.52万人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