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태환경부,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및 행동 2024년도 보고서’ 발표 | ||
|
||
|
우만주 (yumanshu87@naver.com)
□ 최근 중국 생태환경부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및 행동에 관한 2024년 연차 보고서를 발표하여 지난해 기후변화 해결에 있어 중국의 주요 성과를 소개(24.11.12)
1) 비화석 에너지 비중 증가
- ′23년 중국의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비화석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17.9%로 증가
- 석탄 소비 비중은 ′17년의 67.4%에서 ′23년의 55.3%로 감소
2)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설치 규모 확대
- 중국의 신에너지 설비 설치 규모는 글로벌 전체의 약 40%, 세계 1위를 차지하여 미국, 유럽연합, 인도를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임
- ′23년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총 15억 1,600만 kW로, 전체의 51.9%를 차지
- 석탄 발전의 비중은 처음으로 40% 미만으로 감소
![]() 3) 신형 에너지 저장장치 개발 가속화
- ′23년 말까지 신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누적 설치 규모는 3,139만 kW/6,687만 kWh에 도달
- 지난해 신규 설치 용량은 2,260만 kW/4,870만 kW로 ′22년 대비 260% 이상 증가
* 13차 5개년 계획 말 보다 10배 가까이 늘어남
4) 신에너지 기술 우위 확보
- 해상 풍력 터빈의 단일 용량 최대치가 2만 kW를 초과했으며 풍력 터빈 블레이드의 최대 길이는 123미터로 모두 세계 최고 수준에 달함
- 태양광 모듈의 변환 효율은 23%로 세계 신기록 경신
- 해상 풍력 터빈, 태양광 모듈 등 신 재생에너지 기술의 혁신은 전 세계 풍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 비용을 각각 60%, 80% 이상 감소시키는 데 기여
□ 특히 2023년 중국이 주력으로 수출하고 있는 ‘신 3종(新三样, 신에너지 자동차·리튬배터리·태양광 제품)’의 경제 부가가치는 223,52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
○ (리튬 배터리) ′23년 기준 리튬 배터리 총 생산량은 940GWh를 돌파해 전년 대비 25% 성장했고, 리튬 배터리 총 수출액은 4,574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3% 이상 성장
- 소비자형, 동력형, 에너지 저장형 리튬 배터리 생산량은 각각 80GWh, 675GWh, 185GWh에 달함
○ (태양광 제품) 폴리실리콘, 실리콘 웨이퍼, 배터리, 모듈 및 기타 주요 제조 부문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64% 이상 성장하고 업계의 총 생산액이 1조 7,500억 위안을 초과하는 등 태양광 산업 규모가 지속 확대
- 실리콘 웨이퍼 수출은 전년 대비 93.6% 증가한 70.3GW, 배터리 수출은 전년 대비 65.5% 증가한 39.3GW, 모듈 수출은 전년 대비 37.9% 증가한 211.7GW를 기록
○ (신에너지 자동차)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 및 판매량은 각각 958만 7천 대, 949만 5천 대로 전년 대비 35.8%, 37.9% 증가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31.6%를 기록
- 신에너지 자동차의 신규 등록 대수는 743만 대로 전체 신규 등록 차량의 31.6%를 차지하고 이는 2022년에 비해 차량 대수는 30.25%, 신규 등록 대수는 38.76% 증가한 수치임
![]() <참고자료>
(24.11.12, 中国政府网) 生态环境部发布《中国应对气候变化的政策与行动2024年度报告》
(24.11.12, 中国政府网) 《中国应对气候变化的政策与行动2024年度报告》发布 应对气候变化,中国在行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