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시 경제정보화국, ‘저고도 경제 산업 고품질 발전 행동방안’ 공개 | ||
|
||
|
□ 베이징과 슝안·톈진·랑팡을 연결하는 저고도 항로 개통 예정 (5.20)
○ 베이징시 경제정보화국은 ‘저고도 경제*산업 고품질 발전 액션방안(′24~′27)’를 공개
*1,000m 공역 내 비행 관련 인프라, 전동수직이착륙기(eVTOL)·드론 등의 기체, 물류·교통 등 서비스와 관련된 경제활동
- 저고도 경제를 국가 전략적 신흥산업이자 대표적인 신품질 생산력으로 간주하여 자율주행, 디지털 저고도, 녹색에너지 등 주요 방향에서 집중적으로 육성 중
- (목표) ′27년까지 저고도 경제 관련 기업 5,000개를 육성하고 산업 규모 1000억 위안(18조 7,190억 원)을 달성할 예정
* 10억 위안 규모의 선도기업 10개, 1억 위안 규모의 산업망 핵심기업 50개, 기술서비스기업 100개 육성
* 저고도 지능형 네트워크, 수직 이착륙장, 드론 및 전동 수직 이착륙기(eVTOL) 등 분야 국제경쟁력 형성
- 긴급 구조, 물류 및 유통, 항공 페리, 도시간 통근, 문화 관광 등 중점 분야에서 10개 이상의 응용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슝안·톈진·랑팡 등 3개의 저고도 항공노선 개통 예정
○ 주요 과제로 기술혁신, 산업망 경쟁력, 운행서비스, 응용시범, 인프라, 보안 등 6대 분야 제시
1) 저고도 경제 기술혁신 강화
- (혁신플랫폼) 저고도경제 분야 중점실험실, 기술혁신센터, 기업기술센터 등 구축 지원
* 베이징항공항천대학, 중국인민공안대학, 중국철도통신신호그룹 등과 전략적 협력협정 체결
- (기술이전) 저고도경제 기술이전을 위한 인큐베이터 및 액셀러레이터를 운영하도록 지원
- (표준) 저고도경제 분야 법규와 표준 제정 사업을 주도하거나 참여하도록 지원
- (R&D 설계) eVTOL, 특수비행 플랫폼 등 신형 제품의 설계 및 산업화 지원
2) 저고도 제조업 산업망 경쟁력 향상
- (완제품) 드론, eVTOL, 비행자동차, 신에너지 범용 항공플랫폼 등 첨단 완제품 프로젝트 유치
- (핵심 부품소재) 수소 에너지·바이오연료 배터리 등 신에너지 엔진시스템과 비행제어시스템, 전기추력시스템, 센서, 부품소자 등 핵심 기술 개발
- (탑재설비) 광전, 레이더 등 다기능 설비, CNS 설비 및 정보·기상 서비스 등 시스템 설비 발전
- (기술공급력) 적층제조 및 레이저제조 기술 발전
3) 운행서비스 기술 지원시스템 구축
- (디지털 기술) 저고도 지능형 네트워크, 저고도 비행제어시스템, 지능형 응용기술 개발
- (운행 검증) 드론·eVTOL 등 운행 적합성 검증, 생산·응용 테스트 기술개발 기관 설립
- (생산성 서비스) 항공구역 관리계획, 비행규칙 제정, 인프라 구축, 컨설팅 등 서비스업 발전
4) 다양한 응용시나리오 개발
- (응용 분야) 긴급구조, 물류 및 유통, 도시간 출퇴근 등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 개발
![]() - (환경 개선) 옌칭, 핑구, 미윈 등지에 디지털 저고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베이더우, 5G 등 통신기술의 응용 강화
5) 저고도 경제 인프라 개선
- (이착륙장) 드론, eVTOL 등 이착륙장 네트워크와 드론 식별, 통신, 전자기 등 시설 구축
- (항로) 디지털화 비행규칙, 자유비행 모델 등 저고도 항로에 대한 스마트화 연구 추진
- (지능형 네트워크) 옌칭, 팡산 등지에 자율주행 항공기 관련 신형 인프라 시설을 개선하고, 통신 및 센서 융합의 저고도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
- (지역협력) 허베이 및 톈진에 비행 테스트 기지 구축, 장자커우(張家口) 공항을 베이징 공무 항공기지로 건설, 빠다링 및 미윈 공항을 베이징 통근 공항 건설
6) 저고도 보안 강화
- (기술) 고효율의 드론 보안 시스템과 설비, 데이터 및 네트워크 안전기술과 소프트웨어 테스트 등 기술 개발
- (시스템) 일체화의 지휘시스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고속 경보, 정밀 식별, 효율적 처리의 솔루션과 모범 응용사례 개발
<참고자료>
北京市促进低空经济产业高质量发展行动方案(2024-2027 年)(征求意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