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2024 장강삼각주 지역 협동 혁신지수 발표
  • 등록일2024.06.21
  • 조회수480
□ R&D인력 규모, 협력 네트워크, 벤처투자 기업 수 지속적으로 확대(6.6)
장강삼각주 지역 협동 혁신지수는 ′11년 100점에서 ′23년 267.57점으로 상승하였고, 연평균 성장률 8.55% 기록 
- 저장성 과기정보연구원, 상하이시 과학연구소, 장쑤성 과기정보연구소, 안후이성 과기정보연구소가 공동 발표한 본 지수는 5개 1급지표 및 20개 2급지표를 포함하는 지표체계를 구축
- ′23년 자원 공유·혁신 협력·성과 공유·기술 이전·환경 지원 등 5개 1급 지표 중 성과 공유 지수가 409.89점으로 가장 높았고, 연평균 성장률 20.82% 기록
 
 
1) R&D인력 규모 확대
- 강장삼각주 R&D인력(전일제 환산·FTE 기준) 규모는 2011년의 73.84만 명에서 2023년 198.35만 명으로 급증하여  중국 전체의 약 31.22% 차지
- 인구 1만 명당 R&D 인력 수는 83.71명으로 전년 대비 9.85% 증가
* 전국 인구 1만 명당 R&D 인력 평균 수는 45명임
- 현재 장강삼각주 내 상하이, 쑤저우, 항저우, 난징, 허폐이 등 도시는 지속적으로 인재 유치를 통해 지역 혁신발전 인재 부상 중
* ′22년 기준 장쑤성 R&D인력은 82.5만 명에 달하여 장강삼각주의 42%, 전국 13%를 차지
 
2) 과학기술 협력 네트워크 강화
- ′23년 기준 장강삼각주 과학기술 협력 네트워크 밀도는 0.74로 전년 대비 0.04 상승
- 장강삼각주 내 공동연구 논문 수는 2만 7,916편으로 전년 대비 5.42% 증가하고 주요 분야는 화학, 공정학, 소재과학, 종양학, 생물화학 및 분자생물학 등임
 
 
3) 특허 기술이전 감소
- 장강삼각주 지역 특허 기술이전 건수는 ′11년의 358건에서 ′22년의 3만 5,504건에 달해 100배를 증가했으나 ′23년은 1만 4,620건으로 대푹 하락
- 주요 분야로 신소재(17,209건), 에너지절감·환경보호(12,595건), 차세대 정보기술(12,368건), 첨단장비제조(10,534건)와 바이오(6,894건)를 들 수 있음
* 도시별로 보면 상하이와 항저우는 차세대 정보기술, 난징은 바이오와 신소대, 허페이는 에너지절감·환경보호와 첨단장비제조산업의 특허 기술이전 규모가 가장 큼
 
4) 벤처 투자 기업 수 확대
- 장강삼각주 지역은 중국 내 벤처투자가 가장 활발한 지역으로 ′22년 해당 지역에 투자하는 프로젝트 비중은 45.5%에 달함
* 주강삼각주(15.2%), 징진지(8.6%)보다 높은 편임
- ′24년 3월 기준 장쑤성에 투자하는 벤처기업 수는 3,102개로 가장 많으며 그 뒤에는 상하이(2,522개), 저장성(2,366개)과 안후이성(458개) 순임
 
 
<참고자료>
2024长三角区域协同创新指数发布:苏州、南京处于技术转移“爆炸区”
2024 장강삼각주 지역 협동 혁신지수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