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차 5개년 계획 성과’ : 5년간 5,500만 명 인재 배출, 교육 강국으로 질주 | ||
|
||
|
□ 중국 교육부는 ‘14차 5개년 계획(′21~′25년)’ 기간 의무·고등교육 확대, 5,500만 명 인재 배출, 디지털 교육 플랫폼 구축 등 ‘교육 강국 건설’의 핵심 성과를 발표(25.9.23)
① 인재 양성
- 전국 2,895개 현(縣)에서 의무교육의 균형화를 달성했으며, 유치원 교육 취학률은 92%로 상승(2012년 대비 27.5%p 증가)하여 매년 1,200만 명이 무료 교육 혜택을 받고 있음
- 고등교육 진학률은 60.8%(2012년 대비 2배)로 확대되었고, 빈곤 지역 특별전형으로 123.5만 명을 선발했으며, 연간 약 1.5억 명 학생이 장학금과 학자금 지원을 받고 있음
- ‘14·5’ 기간 고등교육은 5,500만 명의 인재를 사회에 공급했으며, 특히 전문교육은 산업 신규 인력의 70% 이상을 담당
![]() ② 경제·사회 발전 지원
- 대학이 국가 과학기술상 수상 성과 대부분 차지(자연과학·발명상 75% 이상, 과학기술진보상 55% 이상), 특히 인공지능·양자기술 등에서 원천적 성과 확보
-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웨강아오대만구(粤港澳大湾区)·징진지(京津冀) 등에 대학 기술이전센터 구축, 중서부 지역 신형 연구기관 설립
③ 교육 종합개혁 심화
- 기초교육에서는 시험제도 개혁으로 입시 부담을 완화했고, 고등교육에서는 학위 논문 외 특허·제품 설계 등 혁신 성과도 학위로 인정
- 청년 교원 지원이 제도화되었으며, 학과·전공은 매년 조정·신설(최근 2년간 20% 이상 조정)
- 전문교육은 ‘신(新) 쌍고(雙高)’* 개혁을 통해 산학융합·국제 협력을 강화했고, 디지털 교육에서는 세계 200여 개국 1.7억 명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 플랫폼을 운영
* 2019년 시작된 ‘쌍고(雙高) 계획’은 수준 높은 전문대학을 육성하는 정책이었는데, 2024년부터는 이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신(新)쌍고 개혁’으로 전환되며, 단순히 학교 시설이나 조건을 잘 갖추는 데서 그치지 않고, 디지털 전환, 국제 협력까지 강화하여 전문교육이 국가 전략과 산업 발전을 직접 뒷받침하도록 한 것임
④ 국제 교육 허브 도약
- 유네스코와 공동 운영하는 ‘세계 여아·여성 교육상’을 통해 19개국 600만 명 이상을 지원했고, 183개국과 교육 협력 관계를 구축함
- 아세안·중앙아시아·일대일로 국가와 협력을 확대하고, 해외에 36개 루반공방(魯班工坊)’*을 설립하여 중국 전문교육의 국제 브랜드로 발전
* 중국 전문대학이 해외 대학과 함께 세운 전문교육 프로젝트로, 현지 실습·교사 연수·기술 인증을 제공하며 30여 개국에 확산
![]() <참고자료>
(25.9.23, 国务院新闻办公室) 介绍“十四五”时期加快建设教育强国进展成效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kostec.re.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