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ture 2025, 세계 상위 200대 연구병원에서 중국 2위 | ||
|
||
|
□ (의학 연구 성장 가속화) Nature(2025.10.16)에 따르면, 중국의 보건·의학 연구 분야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확대에 힘입어 연구개발(R&D) 규모와 성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논문 수와 세계 순위 모두에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네덜란드 라테나우연구소 분석 결과, 1996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의 과학 연구 투자 규모는 38배(3,829%) 이상 확대되었으며, 현재는 미국과 유사한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남
- (투자) 중국의 연간 R&D 예산은 약 7%의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이후 의학 연구 예산이 감축되고 있어 향후 수년 내 중국이 투자 규모에서 미국을 추월할 가능성이 제기됨
- (논문) 중국의 Web of Science 등재 논문 중 의학 분야 비중은 2003년 10%에서 2023년 20%로 두 배 증가
- (기관) Nature Index 2025 기준, 세계 상위 200대 연구병원 중 중국은 51개(25%)를 차지, 미국(69개)에 이어 2위, 독일(20개)이 3위를 기록함
* 특히, 상위 25개 급성장 병원 중 16곳이 중국 병원으로, 연구 인프라 확충 속도가 두드러짐
![]() □ (국가 전략 분야) 중국 정부는 2024년 보건의료 R&D의 전략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신흥감염병 대응, 암, 심혈관 질환, 희귀질환 4대 핵심 연구 분야를 설정하고, 국가 차원의 중점 투자를 추진 중임
○ (임상시험 경쟁력) 중국은 임상시험 수행 규모에서 이미 미국을 추월하며 세계 선도국으로 부상
-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2025)에 따르면, 중국은 2019년 이후 미국을 제치고 임상시험 등록 수 1위를 유지
* 2023년 기준 중국 16,612건 / 미국 9,100건으로, 약 두 배의 격차를 보임
□ 시사점
○ 전문가들은 미국의 연구 예산 축소*와 중국의 투자 확대가 맞물리며, 중국이 10~20년 내 미국 수준의 의료 연구 투자 규모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글로벌 의학 연구의 중심이 아시아로 이동할 것으로 전망됨
* 트럼프 행정부는 국립보건원(NIH) 예산 40% 삭감과 27개 연구소를 8개로 통폐합하는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다수의 연구보조금이 정치적 이유로 중단되는 등 미국 내 연구 생태계가 위축되고 있음
<참고자료>
(25.10.01, NATURE INDEX) China’s research hospitals push for prominence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kostec.re.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