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정무 AI 모델 적용 지침’ 발표, 13개 시나리오로 행정 효율화 | ||
|
||
|
□ 중앙인터넷정보판공실과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정무 AI 모델 적용 지침’을 공동 발표하며, 중국 최초로 정무(政務) 분야 대규모 AI 모델의 통합 적용 방향과 13개 대표 시나리오를 제시(25.10.11)
○ (배경) 중국 AI 산업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정무 분야에서도 체계적이고 안전한 AI 모델 적용 지침이 절실한 상황임
- 중국의 AI 산업은 빠르게 성장 중이며, 2024년 산업 규모는 9,000억 위안(약 180조 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
- AI 관련 기업 수는 5,300개 이상(2025.9 기준)으로, 세계 AI 산업의 약 15%를 차지
- 그러나 정무 분야에서는 여전히 데이터 표준 부재, 정보 고립, 중복 투자 문제가 심각함
* 예를 들어, 행정 서비스의 90% 이상이 온라인화되었으나, 백엔드 데이터 연계 부족으로 반복 입력과 비효율이 지속되고 있음
○ (목표) 이번 지침은 중국 최초의 정무 AI 전용 정책 문건으로, 중국 국무원의 ‘AI+’ 전략*을 구체화하고 AI 기반 국가 거버넌스 현대화를 추진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중국은 2015년 ‘인터넷+’ 전략을 시작으로 2017년 인공지능(AI)을 국가 전략으로 격상시켰으며, 2024년 정부업무보고에서 처음으로 ‘AI+’ 개념을 공식 반영한 데 이어, 2025년 8월에는 「‘AI+’ 행동 심화 이행 의견」을 통해 중장기 추진 계획을 구체화
- 중앙·지방 정무 부문의 AI 모델 도입 시 통일된 기술 기준·실행 절차·보안 체계를 마련하여, 중복 개발을 방지하고 효율적이고 안전한 정무 AI 적용 체계를 구축함
○ (내용) 지침은 정무서비스·사회관리·행정업무·정책결정 지원 등 4대 분야에 걸쳐 13개 적용 시나리오를 제시
![]() ![]() □ (추진 체계) 지침은 정무 AI 도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통합적 배치 체계를 함께 제시함
○ 중앙·지방 정부는 ‘한 곳 개발, 다수 활용’ 원칙* 아래, 국가 산출망(‘동수서산, 東數西算’)*과 정무 클라우드를 활용한 공동 활용 구조를 구축
* ‘한 곳 개발, 다수 활용’ 원칙은 정부 각 부처와 지역이 별도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한 지역(예: 중앙 혹은 성급 단위)이 통합된 정무 AI 플랫폼을 구축하면 다른 지역·부처가 이를 공유·연동하여 함께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함
* ‘동수서산’은 2022년 2월 출범한 국가 통합 산출력 네트워크 사업으로, 동부의 데이터 처리 수요를 서부로 이전해 에너지 절감과 전국 산출력 균형을 달성하는 215.5 EFLOPS 규모(2025년 기준)의 국가급 디지털 인프라 프로젝트임
○ 모델·데이터·연산 자원을 집중 관리하고 지역·기관 간 공동 활용을 강화하며, 고품질 정무 데이터셋 및 지식베이스 구축을 추진
![]() <참고자료>
(25.10.11, 中国互联网协会) 政务领域人工智能大模型部署应用指引
(25.10.11, 新浪财经) 我国首个!政务领域有了人工智能大模型指引,释放哪些信息?丨快问快答
(25.10.02, 中国信息通信研究院) 我国人工智能企业数量超5300家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kostec.re.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