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업정보화부, ‘2023년도 정보통신산업 통계 공보’ 발표 | ||
|
||
|
□ 모바일 인터넷, 고정 광대역 접속, 클라우드컴퓨팅 3대 신흥 사업 크게 성장(1.24)
○ 정보통신산업 분야 투자는 5년 연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컴퓨팅파워 등 신형 네트워크 인프라 크게 성장
1) 질적 성과
- ′23년 정보통신산업 분야 수익은 1.68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6.2% 성장, 업무량은 전년 대비 16.8% 증가
- 모바일 인터넷, 고정 광대역 접속, 클라우드컴퓨팅 등 3대 신흥 사업의 전체 수익 대비 비중은 37.8%, 15.6%, 21.2%를 각각 차지, 이중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수익은 전년대비 37.5% 성장
![]() - 3대 통신업체와 China Tower사가 총 4,205억 위안의 고정자산 투자를 완성했으며 전년대비 0.3% 증가, 최근 4년간 5G 분야 투자는 누적 7300억 위안을 초과
- R&D 투입 규모는 전년대비 9.8% 증가, 5G 맞춤형 기지국 및 5G 경량화 기술 등 분야 상용화 실현, ‘핸드폰과 위성을 직접 연결’시키는 상용화 서비스 개시, 5G 주파수 칩 ‘퍼펑(破风) 8686’ 출시
2) 신형 인프라 배치
- FTTR(Fiber to the Room) 5G 선도기술이 사용자 보급단계에 진입. 10G급 수동 광통신망(PON)포트 규모는 2302만개로 전년대비 51.21% 증가, 5G 기지국 수 337.7만개이고 이중 모바일 핸드폰 기지국 수 1/3을 차지하며, 실내 5G 시스템 수 100만개를 돌파
* 5G 네트워크와 기가비트 광네트워크를 지칭
![]() - ′23년말 기준 3대 통신업체의 데이터센터랙 수 97만 개, 컴퓨팅파워 규모는 26EFlops 초과, 신축한 간선 광케이블 수는 130개, 400G급의 지역 간 핵심 네트워크 구축사업 가동
- 네트워크 계획-건설-보수·유지-최적화 등 단계에서 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 3대 통신업체는 ‘1 일반+N 전용’ 대형 모델 시스템 구축
3) 듀얼 기가비트 및 사물인터넷 사용자 규모 급증
- ′23년말 기준 모바일 핸드폰 사용자 규모는 17.27억 가구이고 보급률은 122.5대/100명, 이중 5G 핸드폰 사용자 규모는 8.05억 가구로 전체의 약 1/2을 차지
- 1000Mbps 이상 접속자 수는 1.63억 가구인데, 이중 고정 광대역 접속자 비중이 1/4 이상을 차지, 고정 광대역 접속 규모는 26만 Tbps로 전년대비 33.8% 증가
- 모바일 네트워크 단말 접속자 규모는 40.59억 가구이고, 이중 사물인터넷 단말 사용자는 23.32억 가구로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고 전년대비 26.4% 증가
![]() <참고자료>
2023年通信业发展情况如何?工信部统计公报来了!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