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업정보화부 외, ‘메타버스산업 혁신발전 3년 액션플랜(′23~′25)’ 발표 | ||
|
||
|
□ ′25년까지 메타버스 기술, 산업, 응용 및 거버넌스 등 종합실력을 세계 선진수준으로 향상(9.8)
○ 공업정보화부 등 5개 부처는 공동으로 ‘메타버스산업 혁신발전 3년 액션플랜(′23~′25) 발표
* 공업정보화부, 교육부, 문화관광부,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라디오·TV총국 등 5개
- 내수 확대 전략과 공급측 구조 개혁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차세대 정보기술과의 융합혁신에 기반한 메타버스 신기술, 신제품 및 신산업 모델 육성
- ′25년까지 메타버스 기술, 산업, 응용 및 거버넌스 등 종합실력을 세계 선진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생태형 메타버스 기업과 관련 산업클러스터를 각각 3~5개 육성 제시
○ 중점 과제로 선진형 메타버스 기술·산업 시스템, 3차원의 산업메타버스, 몰입형 디지털 라이프, 완비된 산업시스템 및 안전한 거버넌스체제 등 5대 분야 14개 방향 제시
![]() 1) 선진형 메타버스 기술·산업시스템
- AI, 블록체인, 클라우드컴퓨팅, 가상현실 등 차세대 정보기술 융합 촉진
- 주요 국가 과학기술 프로젝트에서 지능형 생성 알고리즘, 분산 신원 인증, 데이터 자산유통 등 메타버스 핵심기술 응용
- 그래픽 컴퓨팅 칩·고급 센서·음향 부품·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등 기초 하드웨어 R&D 가속화
![]() - 메타버스 선두주자기업과 전정특신 중소기업을 육성하고 산업혁신연합체와 메타버스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등 산업생태계 조성
* 메타버스 ‘명품’ 개발, 메타버스 ‘유명기업’ 육성, 메타버스 ‘유명단지’ 구축, 메타버스‘유명인’ 양성
2) 3차원 산업용 메타버스
- 가전, 자동차, 선박, 항공우주, 중대 기술 장비, 전자정보제조 등 분산형 제조업을 지향해 산업용 메타버스 기반의 협업 가속화
- 철강, 섬유, 전력 등 프로세스형 제조업을 중점으로 재료 성분 최적화 및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등 핵심공법 중 산업용 메타버스의 적용 촉진
- 산업용 메타버스 디지털 신원 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고 전체 산업망 내 신뢰할 수 있는 신원 확인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혁신응용 모델 육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