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업정보화부, 제조업 기술혁신 체계 구축 강화 | ||
|
||
|
□ 제조업 과학기술 자립자강과 고품질 발전 실현을 위한 ‘1295’기술체계 구축(8.29)
○ 공업정보화부는 ‘제조업 기술혁신 체계 구축 및 응용 실시의견’을 발표하고 기본원칙과 ′25년 및 ′27년 2단계 목표를 제시
- (기본원칙) 산업별 제품 수명주기를 중심으로 기술체계 발전 및 핵심기술 문제점 분석, 선두기업 주도로 산학연 협력 강화, 지방정부의 특색산업기술체계 건설, 정기적 모니터링 기술체계 구축
- (′25년 목표) 표준화된 제조업 기술혁신 체계 구축 방법 마련, 등급별 애로기술 해결, 과학기술 성과 산업화, 기업 공급망 리스크 관리 수준 향상
- (′27년 목표) 선진적 제조업 기술혁신 체계 구축, 기술 체계 전면적 생산 응용
○ 제조업 기술체계는 ‘1295’로 개괄하고 9개의 기술체계 구성, 기술체계 평가등급을 설정
* 제품생산과정에 따라 1세트의 평가분석틀 구축, 산업기술공급과 기술지원의 2개 라인 중심으로 핵심기술, 자재, 기업, 연구개발 등 9장의 리스트 형성하고 기술 성숙도와 모형에 따라 국내외 격차를 비교하여 5개의 평가등급 형성
![]() ![]() ○ 제조업 기술체계 평가 및 확장
- (과학적 평가) 공업정보화부는 기술 시스템 구축의 종합성·실시간성·정확성·선진성 등의 실제상황에 따라 종합 평가 실시
- (모니터링 서비스 플랫폼) 기술 시스템 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술 시스템을 동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기술 개발, 제품 업그레이드 및 산업 응용현황에 따라 적시에 기술 시스템 업데이트
- (기술 네트워크 체계 형성) 다양한 산업체인 간의 연관성을 분류·정리하고 기본 공통 문제를 발견하며 정보 공유 및 협력할 수 있는 기술 네트워크 시스템 형성
○ 기술체계 응용을 위한 6대 방향 제시
![]() <참고자료>
工业和信息化部关于印发制造业技术创新体系建设和应用实施意见的通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