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외, ‘2022 글로벌 인공지능 혁신지수 보고’ 발표
  • 등록일2023.08.07
  • 조회수576
미국 AI 혁신지수 4년 연속 1위, 중국 최근 3년 연속 2위 차지(7.18)  
○ 최근 개최된 2023 글로벌 인공지능 포럼에서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와 베이징대학은 공동으로 ‘2022 글로벌 인공지능 혁신지수 보고’를 발표 
- 평가지표인  인프라, 혁신자원·환경, 연구개발, 산업·응용을 기준으로, ‘19년부터 매년 발표
- ′22년부터 ’인공지능 국제화’ 1급 지표 신규 추가
 
1) 미국중국은 인공지능 혁신지수 50점 이상으로 1등급 차지 
- 미국의 인공지능 혁신지수는 4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중국은 최근 3년 연속 2위를 차지
- 2등급(35~50점)은 영국, 독일, 싱가포르 등 11개 국가가 해당되고,  3등급(20~35점)은 덴마크, 핀란드. 벨기에 등 12개 국가가 차지 
- 최근 3년간 변화를 보면 영국이 ′20년도 6위에서 ′22년도 3위로 향상되고, 한국은 ′20년도 3위에서 ′22년도 8위로 하락
 
 
2) 중국은 전체 11개의 2급 지표 중 ‘교육’과 ‘산업’을 제외한 9개 지표에서 모두 미국보다 낙후 
- 특허, 논문, 인재 3개 지표에서는 미국을 거의 추격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인프라 수준도 크게 향상
- 단, 알고리즘, 응용, 국가 R&D 투입, 표준 및 학술연구 국제화, 혁신제도 5개 지표에서 미국과 큰 격차를 보임   
   
 
3) 글로벌 인공지능산업은 혁신제도, 연산력 인프라, 산업화 수준, 기초연구 촉진 등 방면에서 발전단계에 진입   
- (혁신제도) ′22년 한해 거의 모든 평가대상국의 혁신제도 지표 득점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영국, 싱가포르, 호주 등 국가는 크게 향상 
- (연산력 인프라) 전체 1/3 평가대상국의 데이터센터 수가 ′20년 대비 10% 이상 증가하였으며, 미국, 영국, 독일 등의 글로벌 500대 슈퍼컴퓨팅센터 보유량 지속 증가  
 * 중국이 보유한 글로벌 500대 슈퍼컴퓨팅센터의 글로벌 비중은 ′20년의 45%에서 ′22년의 35%로  감소 
- (산업화) ′22년 한해 평가대상국 전체의 인공지능기업 수는 전년 대비 25% 증가하고, 인공지능 분야 종사자 수도 전년 대비 53% 증가 
- (기초연구) 전자, 통신, 컴퓨터과학 등 정보기술 주제 외에도 환경과학, 지리과학, 소재과학 등 기초과학 주제의 인공지능 논문 수도 지속 증가해 그 비중이 ′22년에 10%로 향상 
 
<참고자료>
<2022全球人工智能创新指数报告> 发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