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업정보화부 등, 스마트 커넥티드 카 산업 표준 체계 구축 | ||
|
||
|
□ 2030년까지 140개 이상의 스마트 커넥티드 카 산업 표준을 제정할 방침(7.26)
○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는 공동으로 ‘국가 스마트 커넥티드 카 산업 표준체계 구축 지침(2023년 판)’을 발표
- ‘국가 표준화 발전 요강’의 요구사항을 적극 이행하고, 스마트 네트워크 자동차 산업의 현대화
- ′25년까지 100개 이상 관련 표준 제정하여 스마트 커넥티드 카 표준 시스템을 형성하고, ′30년까지 140개 이상의 표준 제정하여 표준시스템 완성
○ 스마트 커넥티드 카 표준체계는 다양한 기능, 제품 기술 유형 및 시스템 간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3단계의 시스템으로 구분
- (기초) 전문 용어 및 정의, 분류 및 분급, 부호 및 코드, (일반규범) 표준 내용 범위와 기술 등급에 따라 14개로 세분화, (제품 기술응용 기술) 논리에 따라 23개로 세분화
![]() ![]() ○ 표준체계 내용 중 제품 및 기술응용은 주로 정보감지 및 통합, 첨단 운전 지원, 자율주행 등 스마트커넥티드카 핵심제품과 기술응용의 기능, 해당 테스트 방법을 포괄
1) 정보감지· 융합
- 감지 융합 및 분석 처리를 거쳐 후속 의사결정 및 제어의 근거를 제공하고 주로 레이더와 카메라, 차량용 정보 교호작용 단말기와 감지 융합 등 표준을 포함
2) 첨단 운전자 보조
- 주로 차량 내외부의 목표 사건 식별, 시스템 상태 전환 조건 및 표시 방법, 동적 운전 작업 수행 및 응답과 같은 핵심 기능에 대한 기술 요구사항 및 해당 테스트 방법을 규정
3) 자율주행
- 특정 설계조건에서 운전자를 대신하여 모든 동적 운전 작업을 지속·자동으로 수행하고 자율주행 기능의 레벨과 설계조건 2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기술 요구사항과 평가 방법 ·지표 제시
4) 네트워크 연결 기능 및 응용
- 네트워크 연결 기술 응용 표준은 차량 내 무선 통신 기술의 응용을 표준화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 기술 관련 시스템 기술 요구사항을 공식화함
5) 자원 관리 및 활용
- 자원 관리 및 응용 표준은 플랫폼 아키텍처, 차량용 소프트웨어 및 차량용 칩과 같은 스마트 커넥티드 카의 핵심·공동성 자원의 기능, 성능 및 응용 요구사항의 표준화
<참고자료>
两部门关于印发《国家车联网产业标准体系建设指南(智能网联汽车)(2023版)》的通知
一图读懂《国家车联网产业标准体系建设指南(智能网联汽车)(2023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