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내 데이터거래시장 활성화
  • 등록일2023.08.18
  • 조회수571
□ 현재까지 중국내 44개 데이터 거래소가 구축되어, 데이터 API 등 실물 데이터 거래가 활발히 진행 중(8.2)  
○ ′23년 6월 기준 중국 정부가 주도 또는 허가한 데이터거래소 규모는 44개이며, 상위 데이터거래소의 거래 규모는 10억 위안(1800억 위안)에 이르는 등 폭발적으로 성장
  * 링이즈쿠(零壹智库)사는 ‘중국 전체 44개 데이터거래소 규모·주식권·제품·거래방식 분석 보고’ 공개 
- ′14년 4월 구이양(貴陽) 빅데이터거래소 설립을 계기로 ′15~′20년 사이 30여 개의 데이터거래소가 잇달아 설립되면서 데이터 거래 1.0시대에 진입
- ′21년 10월~′22년 3월 사이 베이팡(北方) 빅데이터거래소, 상하이 데이터거래소, 서부 데이터거래센터 등 11개 데이터거래소의 건설을 집중 가동하면서 시운영 및 본격 운영 단계 진입  
- 전체 거래소 중 본격적으로 운영하는 거래소는 15개에 달함
 
 
○ 거래 대상은 주로 데이터 API, 데이터 세트, 데이터 보고서이며 신형 데이터 유형을 개발중임  
- ′20년 12월, 발개위 주도로 발표한 ‘전국 일체화의 빅데이터센터 혁신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도의견」에서는 데이터 유형을 원천데이터, 암호화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AI 데이터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
 
 
- 거래 가능한 데이터 서비스 범위도 기존의 금융 및 인터넷 분야에서 의료, 기상, 교통, 물류, 통신, 교육, 인문, 지리, 생활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 ′23년 1월, 광저우데이터거래센터에서는 중국 최초로  ‘산업 데이터지수 플랫폼’을 공개하여,  10개 산업 분야 총 80여 종 산업 데이터 지수를 상품으로 출시  
 
○ 거래방식은 주로 수요맞춤형 거래 또는 부가가치 서비스 지원임   
- 구이양 빅데이터거래소는 플랫폼 데이터 맞춤형 서비스 분야로 지원중이며 ′22년 4월 이래 기상데이터, 전력데이터, 정부 데이터, 연산자원 등 특화 서비스를 개시  
  * 데이터제품·서비스, 연산자원, 알고리즘 공구 등 다원화의 제품 거래를 지원하고, 이 과정에 데이터 가격형성, 제품 정가 및 가치평가 등 분야로 사업을 확대 
- 기업 데이터 구입시 R&D 비용으로 처리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 자산을 기업 채무에 포함시켜  융자를 용이하게 지원 
 
<참고자료>
国家数据局局长就位,44家数据交易所都在做什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