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무원, 전기차 충전 인프라체계 구축방안 발표 | ||
|
||
|
□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에 맞추어 2030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충전 인프라 체계 구축(6.19)
○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의 판매량은 국내 자동차 시장의 27.7%로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음
- ′23년 1~5월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은 300만 5,000대, 판매량은 294만 대로 각각 전년 대비 45.1%, 46.8% 증가(공업정보화부 통계 데이터)
- ′23년 5월 기준 중국 전기차 충전기 수는 총 208.4만 대에 달하며 전년 대비 36% 상승
![]() ○ 이에 따라, 국무원은 「고품질 충전 인프라 체계 구축에 관한 지도 의견(关于进一步构建高质量充电基础设施体系的指导意见)」을 발표
-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일상 모빌리티 충전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높은 수준의 충전 인프라 체계를 구축
- 도시, 도로 및 농촌 지역 특성에 맞는 충전망을 구축하고, 중대형 도시의 영업용 주차장에 설치된 충전용 주차면 비율을 해당 도시에 등록된 전기차 비율 이상으로 늘릴 계획
○ 주요 내용으로는 주요도시, 권역지역, 도시·농촌 지역내에 고효율 충전망 건설을 추진
1) 도시 간 충전망
- 중국의 ‘6축, 7회랑, 8통로(6軸7廊8通道)’ 국가 종합 입체교통망을 기반으로 주요 도시 간 도로 교통망 충전 인프라 건설 가속화
- 고속도로 교통망의 충전 인프라 규모를 확대하고, 신설된 고속도로 휴게소에 충전 인프라를 동시에 건설
2) 도시권 내 충전망
- 충전 인프라 건설계획을 통합하고 각 도시의 충전 서비스 데이터의 개방·공유를 강화하여 충전망의 스마트화를 가속화
- 징진지(베이징-톈진-허베이) 지역, 장강 삼각주 지역, 웨강아오 대만구(광둥-홍콩-마카오) 및 청위(청두-충칭) 경제권을 중심으로 충전망 구축 강화
3) 도시 내 충전망
- ‘2개 구역(거주 및 업무)’과 ‘3개 중심지(상업, 공업 및 레저)’를 주축으로 하는 충전망을 구축하여, 인프라를 도심에서 외곽으로 점진적 확대
- 급속 충전 위주의 공공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일정 규모의 집중식 충전 인프라 건설
4) 농촌 지역 내 충전망
- 농촌 지역과 도시 간 충전 망 융합 발전을 촉진하고, 전기차 사용이 적합한 농촌 지역에 충전 인프라 건설 가속화
- 현급(县级) 도시를 대상으로 공공 직류 급속 충전소를 설치하고, 지역 공공기관, 기업 단체, 상업용 건축물, 터미널, 공영주차장, 물류기지 등 지역 공공 충전 인프라를 마련
<참고자료>
国务院办公厅关于进一步构建高质量充电基础设施体系的指导意见
你关心的新能源汽车充电基础设施建设问题,国办发文讲明白!
充电设施建设……新能源车产业高质量发展再迎政策支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