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AI for Science 분야 논문수 세계 1위 기록 | ||
|
||
|
□ 중국 바이오 의료·재료 화학 등 분야 AI for Science 성과 부상(7.6)
○ 인공지능 주도형 과학연구(AI for Science)는 정통적인 과학연구의 ‘병목 문제’를 해결하고 현재 글로벌 과학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
- 과학자들은 인공지능(AI)기술과 방법을 활용하여 자연·사회계의 다양한 현상과 법칙을 학습, 시뮬레이션, 예측 및 최적화하여 과학기술 혁신 추진
○ 최근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와 과학기술부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연구센터가 공동으로 ‘중국 AI for Science 혁신지도 연구보고’ 발표
1) 연구성과
- ′17년부터 전 세계 과학자들은 머신러닝 등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했고 5년 동안 많은 AI for Science 모델과 기반 소프트웨어 제품들이 끊임없이 출시
![]() - 중국의 AI for Science 분야 논문 수는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중국·미국·유럽 3개 국가(지역)의 논문 수는 글로벌 전체의 80%를 차지
- 중국 세계적 연구성과로 PaddleScience, MindSpore Science, MEGA-Protein, 붕정·신농(鹏程·神农), 동방·웨봉(东方·御风) 및 Pangu-Weather(盘古天气) 등 기반 소프트웨어·모델을 들 수 있음
![]() 2) 인재 규모
- 동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AI for Science 인재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바이오의학, 지구과학, 환경과학 등 연구 분야에 집중
- 지역별로 보면 베이징, 광둥성, 장쑤성 3대 지역의 AI for Science 인재 지수가 가장 높음
- 산둥성, 후베이성, 쓰촨성, 랴오닝성, 산시성 등 과학·교육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서 AI for Science 인재 수가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남
![]() 3) 연산력 인프라
- 중국 연산력 인프라 시설은 주로 베이징, 광둥성, 저장성, 상하이, 장쑤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전국의 약 90%를 차지
4) 연구 분야
- 중국의 80여 건의 AI for Science 연구를 조사·분석한 결과, 바이오 의료·재료 화학 등 분야에서의 AI for Science 성과가 가장 많았으나 다른 분야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 해당
<참고자료>
这一领域,我国论文发表数量全球第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