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中 2030년 천만 사용자 목표···위성통신의 대중화 시대 개막
  • 등록일2025.09.05
  • 조회수531
□ (배경)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규정*에 따른 발사 조건이 글로벌 위성 발사 경쟁을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저궤도(LEO) 위성은 현재 전 세계 우주·통신 경쟁의 핵심 분야로 부상
* 각국과 기업이 위성 별자리(Star Constellation) 계획을 제출하면, 제출 후 9년 이내 전체 계획의 10%를 발사하도록 규정
(경쟁 구도) 글로벌 저궤도 위성 경쟁은 미국의 절대적 선두, 중국의 빠른 추격, 유럽의 점진적 추진, 러시아의 불확실성이라는 구도로 전개되고 있음
- (미국) 절대적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SpaceX의 Starlink는 이미 대규모 상용 서비스 능력을 확보해 기술과 사업 모델 모두 성숙 단계에 도달
- (중국) 미국을 빠르게 추격 중으로, GW(国网)의 위성망(1만3천 기)과 상해 위안신(垣信)의 천범(千帆) 위성망(1만5천 기)을 추진 중이며, 2025년 첫 72기 시험 위성 발사를 완료하고 2026년부터 본격적 네트워크 구축을 시작할 예정
- (유럽) EU와 각국 항공우주국이 다수의 저궤도 위성 프로젝트를 지원하지만 진도는 상대적으로 느리며, ESA의 안전통신 이니셔티브에 60억 유로(약 8조 8천억 원)를 투자해 주로 정부·보안 통신 수요에 대응
- (러시아) Sfera 위성망을 통해 600기 이상 발사를 계획하고 있으나, 국제 정세와 제재로 인해 추진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임
 
 
(시장규모)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은 미국 기업이 약 70%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고, 유럽(15%)과 중국(10%)은 뒤를 추격하는 구조
- 중국의 위성통신 시장은 2025년 규모가 2,000억 위안(약 37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이 20%를 초과할 것으로 보임
 
 
□ 최근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위성통신 산업 발전을 위한 사업 진입 최적화 지도의견’을 발표하고 30년까지 위성통신 이용자 수를 1천만 명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25.8.28)
○ 이번 정책은 ①시장 개방, ②응용 확대, ③생태계 조성, ④자원 최적화, ⑤규제 강화 등 5대 분야의 15개 세부 과제로 구성되며 위성통신을 국가 디지털 인프라로 고도화하려는 의도가 있음
 
 
○ 특히 이번 정책은 기술 독점 해체, 시장 개방, 접속 완화라는 세 가지 변화를 통해 중국 위성통신이 ‘실험실 단계’에서 ‘대중 상용화 단계’로 진입을 선언
1) 기술 독점 장벽 해체
- 통신사와 위성 기업 간의 공동 구축·공유 협력 모델을 의무화하여, 기존 톈퉁(天通)·베이더우(北斗 등 고궤도 위성 자원을 민간 통신 서비스에도 개방
- 이에 따라 2025년부터는 일반 스마트폰에서도 위성 직통(통화·문자)이 가능해지며, 위성통신이 본격적으로 생활 속 서비스로 확대될 전망
*  예시: 화웨이가 2024년 Mate X6에 적용했던 위성통화 기능은 2025년에는 3,000위안(약 55만 원)대 중저가 스마트폰(Honor X60 Pro)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
 
2) 시장 진입 장벽 완화
- 기존에는 민간기업의 위성통신 시장 진입이 거의 불가능했으나, 이번 정책은 위성 자원 임대, 부가가치 서비스, 대리 판매, 위성 IoT 운영까지 허용
- 이를 통해 농업 드론 기업 등이 직접 위성을 임대해 농지 모니터링, 원격 IoT 관리 등 스마트 농업 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으며, 시장의 다양화와 혁신적 응용이 촉진될 전망
 
3) 접속 문턱 장벽 완화
- 이번 정책의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단말기 직통서비스’를 공식 지원하며, ‘유심 교체·번호 변경이 필요 없는’ 모델을 제시
- 이는 그동안 전용 위성 단말기나 별도의 SIM 카드를 구입해야 했던 불편을 없애, 기존 스마트폰과 번호 그대로 위성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 것임
-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별도 장비 없이 위성 음성·문자 서비스를 즉시 이용할 수 있어, 위성통신이 특정 전문 사용자에 한정된 서비스에서 일반 대중이 쉽게 접근 가능한 서비스로 확장됨
 
<참고자료>
(25.8.25, 工业和信息化部) 工业和信息化部关于优化业务准入促进卫星通信产业发展的指导意见
(25.8.29, 复盘又复盘) 卫星通信产业链深度研究报告(2025年)
(25.8.27, 环球专网通信)解读工信部重磅发布卫星通信指导意见:低轨互联网、直连卫星、物联网迎来黄金十年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