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 과학기술 논문 수, 세계 1위 | ||
|
||
|
□ 2021년 중국 SCI 수록 과학기술 논문 수는 61.23만 편으로 처음으로 글로벌 1위 달성
○ SCI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세계 과학기술 논문 총 편수는 249.92만 편으로 2020년 대비 7.2% 증가
* 중국 과학기술부 산하기관인 중국 과학기술 정보 연구소가 「2022년도 중국 과학기술 논문 통계 보고」를 발표하고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 수록 중국 과학기술 논문 현황을 분석
- ‘21년 수록된 중국의 과학기술 논문 수는 61.23만 편으로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로 처음으로 올랐으며 2020년 대비 0.8%p 상승
- 논문 수 세계 상위 5개 국가는 중국, 미국, 영국, 독일, 이탈리아순이며 세계 2위인 미국의 논문 수는 58.10만 건으로 세계 논문 중 23.2% 차지
- 중국이 제1 저자로 발표된 논문 수는 55.72만 건으로 2020년 대비 11.1% 증가했으며 세계 논문 중 22.3%를 차지
![]() ○ ′21년 SCI에 수록된 중국논문 중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발표된 논문은 14.92만 편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 그중 전체 논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4%임
- 중국인이 제1 저자로 발표한 논문은 101,951건으로 전체 공동연구 논문의 68.3% 해당
- 협력파트너 국가(지역)는 173개에 달한 가운데, 상위 6개 협력 국가는 각각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독일 및 일본임
* 미국(36,380건), 영국(12,086), 호주(10,456), 캐나다(7,245), 독일(5,792), 일본(5,113)
![]() - 중국인이 제1 저자로 발표한 공동연구논문 수 가장 많은 6대 학술 분야는 각각 생물학, 화학, 임상의학, 전자 통신 및 자동제어, 지구학, 환경과학순임
![]() ○ 학과별 논문 수, 피인용 건수 등을 보면 중국의 12개 학과가 전 세계 각 해당 학과 논문의 20% 이상을 산출
- 농업과학, 재료과학, 화학, 컴퓨터과학, 엔지니어링 기술 등 5대 분야 논문의 피인용 건수는 세계 1위
- 생물·생물화학, 환경 및 생태학, 지구학, 수학 등 10개 분야 논문의 피인용 건수는 세계 2위, 임상의학 논문 피인용 건수는 세계 3위를 차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