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제조강국을 향한 AI융합 전략: ‘기계산업의 디지털 전환(′25~′30년)’
  • 등록일2025.08.18
  • 조회수596
□ (배경) 중국 기계산업은 특허 경쟁력에서 주요 제조 강국 대비 뒤처져 있어, ‘제조강국’·‘디지털 중국’ 전략 달성을 위해 전 주기 디지털 전환이 시급한 상황임
(글로벌 비교) ‘품질가중 혁신우위(QRIA)’* 지표에서 중국 기계산업은 독일·일본·한국 등 주요 제조 강국 대비 경쟁력이 낮고, 글로벌 선두권과 기술 격차가 존재
* QRIA는 특허 수와 품질을 함께 반영해 국가·산업별 혁신 역량을 정밀 측정하는 지표
- 중국의 제조업 전반* 경쟁력은 빠르게 높아지고 있지만, 기계 분야는 여전히 다른 주력 제조업에 비해 뒤처져 있으며, 독일 등 제조 강국과 비교하면 21위 수준에 머물고 있음
* 특히 전기장비와 컴퓨터·광학 분야는 2005년 이후 특허 경쟁력이 빠르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중국 현황) 중국 기계산업은 여전히 글로벌 제조 강국에 비해 경쟁력이 낮아, 디지털 전환 없이는 ‘제조강국’ 전략*과 ‘디지털 중국’** 건설에 필요한 첨단 설비 공급 역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임
* 중국은 ′15년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해 ‘제조대(大)국’에서 ‘제조강(强)국’으로 도약하는 국가 전략을 추진 중이며, 혁신·품질·녹색 등을 방향으로 ′25년 제조강국 진입, ′35년 세계 중위권, 21세기 중반 세계 선두권 달성을 목표로 함
** 중국은 2015년 ‘디지털 중국 건설’을 제안하고 2017년 국가 전략으로 격상했으며, 2025년까지 통합 추진체계 구축, 2035년 세계 선도 수준 달성을 목표로 함
- 과거 중국 정부는 ‘14·5개년 스마트 제조 발전계획(′21~′25년)’, ‘제조업 디지털 전환 행동계획’ 등 산업 정책을 추진해왔으나, 기계산업을 대상으로 전 주기 방안을 마련한 것은 이번이 처음임
 
□ 공업신식화부 등 8개 부처는 ‘기계산업 디지털 전환* 시행방안(′25~′30년)’을 발표하고, ′30년까지 기계산업 전 과정의 기술혁신과 디지털화를 실현하며 스마트공장 500곳 이상을 구축할 예정(25.8.5)
* 중국 기계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첨단기술을 연구부터 생산, 운영·유지, 공급망, 경영 전 과정에 융합해 산업의 지능화·네트워크화를 실현함
(목표) ‘방안’은 기계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국가 차원의 최상위 설계 문서로, 산업 전 주기에 걸친 지능제조, 기술혁신, 전사슬 디지털화, 표준·생태 구축을 2027년·2030년 단계별로 제시
- (27년까지) 스마트제조 역량 성숙도 2급* 이상 기업 비중 50%, 고도화(卓越型) 스마트공장 200곳 이상 구축, 우수 솔루션 200개 이상 확보
* 스마트제조 역량 성숙도 2급은 중국 스마트제조 역량 성숙도 평가체계(CMMM)에서 핵심 장비와 주요 업무의 데이터 공유·표준화가 가능한 기초 디지털·자동화 수준을 뜻함
- (30년까지) 주요 기업 1차 디지털 전환 완료, 산업·공급망 데이터 연계·공유 실현, 성숙도 2급 이상 기업 비중 60%, 고도화 스마트공장 500곳 이상 구축
(과제) ① 스마트 장비, ② 스마트 제조, ③스마트 서비스, ④ 지원 역량 강화 등 4대 분야에서 12개 핵심 과제를 추진
 
 
<참고자료>
(25.8.1, 工信部) 关于印发《机械工业数字化转型实施方案》的通知
(25.8.1, 工信部) 《机械工业数字化转型实施方案(2025-2030)》一图读懂
(25.8.5, 人民政府网) 《机械工业数字化转型实施方案(2025—2030)》解读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