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新 글로벌 AI 삼국지 : 미국은 패권, 유럽은 규범, 중국은 거버넌스
  • 등록일2025.08.22
  • 조회수416
□ 2025년 7월, 글로벌 AI 거버넌스 경쟁이 정점에 달했으며, 미국·중국·EU가 잇따라 중대한 정책을 내놓으며 각자의 전략적 의도와 발전 경로, 거버넌스를 선명히 드러냄(25.8.7)
 
 
(목적) 미국의 ‘AI 행동계획’은 AI를 글로벌 경쟁의 핵심 영역으로 규정하며,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세계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을 전략 목표로 삼고 있음
(주요 내용) 이번 ‘AI 행동계획’은 정부의 AI 전면 활용, 탈규제화, 대중(對中) 봉쇄 강화(小院高墙), 미국식 가치관 확산을 축으로 한 전략으로, 기술 우위를 통한 패권 수호를 드러내고 있음
- (AI 전면 활용) 연방 정부는 국방, 보건, 에너지, 교육 등 모든 부문에서 AI를 핵심 임무에 통합하도록 요구하며, 행정부 전체 차원에서 전면적인 AI화 추진
- (탈규제화) 데이터센터·반도체 제조시설·에너지 인프라와 관련된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고, 기존의 연방 및 주(州) 단위 규제·승인·보조금 장벽을 전면 해체함으로써 AI 연구개발과 배치, 산업화 속도를 저해할 수 있는 제도적 걸림돌 제거
- (대중(對中) 봉쇄 강화) 내부적으로는 대규모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수출통제와 투자심사를 강화하여 첨단 AI 기술과 반도체가 중국으로 유출되는 것을 철저히 차단
- (‘미국 가치관’ 강조) AI 기술을 민주주의, 인권 등 특정한 이념과 결합시켜 동맹국 중심의 배타적 기술 블록을 구축하려는 의도
 
 
(목적) EU는 기초모델이나 연산능력 같은 AI 하드웨어적 역량에서는 미·중에 뒤처지지만, 대신 글로벌 AI 규범의 설계자와 도덕적 심판자를 자임하고 있으며 핵심 목표는 권리 보장, 위험 예방 등을 들 수 있음
(주요 내용) EU는 ‘범용 AI 행동준칙’과 ‘범용 AI 모델 제공자 지침(25.7.18)’은 2024년 타결된 ‘EU AI 법안(AI Act)’의 하위 세칙으로 AI모델의 규율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안전과 신뢰의 원칙) AI 전략의 핵심은 범용 AI 모델 개발자에게 위험 관리·데이터 거버넌스·투명성 의무를 부과하여, ‘설계 단계부터 안전한 AI’를 구현하도록 강제하는 데 있음
- (정밀 규제 접근) 특히 오픈소스(Open Source)와 폐쇄형(Closed Source) 모델을 구분하여, 오픈소스에는 보다 유연한 규제 의무를 적용함으로써 연구·투명성·경쟁 촉진의 가치를 인정
- (브뤼셀 효과의 확장) EU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분야에서의 GDPR 성공 경험을 AI 분야로 복제하려 하며, 글로벌 AI 거버넌스의 ‘도덕적 고지(Moral High Ground)’를 차지하려는 전략을 노골적으로 드러냄
* 브뤼셀 효과(Brussels Effect)는 EU가 정하고 집행하는 법에 전세계가 따르는 현상을 의미함
 
 
(목적) 중국의 전략은 AI를 인류 공동의 공공재로 정의하고, 발전과 안전을 병행하면서 개도국을 포함한 다자 협력체제 속에서 국제 거버넌스를 주도하는 것임
(주요 내용) 중국은 ‘발전·안전·거버넌스’의 세 가지 기치를 내세워, 기술패권이 아닌 포용적·보편적 거버넌스를 추구하며 구체적 실행 방안을 제시
- (‘발전·안전·거버넌스’ 강조) ‘디커플링(탈동조화)’과 ‘대중(對中) 봉쇄 강화(小院高墙)’에 반대하며, 대외 개방과 국제협력을 주장
- (‘중국 방안’ 제시) 포용적이고, 모두에게 혜택을 주며, 안전한 AI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제안하고, 각국의 주권과 발전 경로를 존중하며 기술 패권주의에 반대함
- (실행 지향) 국제 교류 강화, AI 위험 테스트 및 평가체계 구축 추진, 개발도상국의 역량 강화 지원 등 구체적 행동계획을 담아 ‘이념’에서 ‘실행’으로의 결의 제시
 
 
<참고자료>
(25.8.7, AI思享家) AI“三国杀”——中美欧AI战略对比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koste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