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업정보화부, 정보통신산업 녹색·저탄소발전 액션플랜(′22~′25) 발표 | ||
|
||
|
□ 데이터 센터, 통신기지국, 통신 장비실 등 3대 핵심시설에 중점을 두고 전체적 설계 강화(8.26)
○ (배경) 디지털 경제 발전의 주요 기반인 5G 기지국, 데이터센터 등 정보인프라 대규모 급증이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탄소 관리가 요구됨
- ‘25년 만 명당 5G 기지국 보유량은 ′20년의 5개에서 26개로, 데이터센터의 연산 규모는 90 Eflops에서 300 Eflops로 확대할 예정
- ′25년까지 정보통신산업 분야 저탄소기술 응용사업 30건을 발굴·보급할 예정
- ′25년까지 단위당 정보유통의 에너지 소모량은 20% 절감, 단위당 전신업무의 에너지 소모량은 15% 절감을 목표로 제시
○ 중점임무로 녹색발전에 대한 설계 최적화, 중점 인프라 녹색고도화, 녹색 산업공급망 촉진, 탄소중립 촉진, 녹색발전 관리 5대 방향 15개 액션 제시
1) 녹색발전 설계 최적화
![]() - 정보 인프라 계획과 국토건설, 도농간 연계 및 지역 레이아웃을 최적화, 도농간 연계 강화 및 네트워크 아키텍춰 최적화
- 정보통신 분야 기업이 광전지, 리튬전지, 수소연료전지 등 녹색에너지 사용 유도
2) 중점 인프라 녹색 고도화
![]() - 모듈화 기계실, 고밀도화 및 가상화의 고효율적 IT 솔루션 개발
- 고효율 칩으로 전반적인 에너지효율 향상 및 실외형 소형 스마트화 전원시스템 개발
′25년까지 신축 대형 및 초대형 데이터센터의 전력이용 효율(PUE)을 1.3 이하로, 개조한 핵심 데이터센터의 PUE는 1.5 이하로 낮추며, 5G 기지국의 효율을 20% 이상 향상, 중서부지역에 그린 데이터센터 건설 추진
3) 녹색산업공급망 촉진
![]() - 정보통신설비와 단말 제품의 에너지효율 표준시스템을 구축하고, 설비공급업체가 전탄소 제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유도
- 특히 네트워크 설비, IT 설비, 전원설비 및 에어컨 등 시설에 대한 에너지효율, 그린 제조공법 및 사용수명 등에 대한 요구 향상
‘25년까지 산업의 녹색 및 저탄소 전환, 거주자의 저탄소 및 환경 친화적인 생활, 도시와 농촌의 녹색 및 스마트 개발을 위해 10가지 전형적인 응용 시나리오 발굴·추진
4) 탄소중립 가속화
![]() - 정보통신기업의 산업 디지털화 및 녹색화의 발전을 늘리고, 주민의 녹색생활을 유도
- 철강, 비철금속, 석유화공 등 산업 분야의 사물인터넷 +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농업 분야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기술의 응용 확대
‘ 25년까지 정보 통신 분야에서 30개 이상의 녹색 및 저탄소 표준 제정
5) 녹색발전 관리
- 기업 녹색 발전 책임 주도하에 녹색 개발 관리 플랫폼 구축
- 녹색개발 새로운 트렌트를 정확히 파악하고 녹색 및 저탄소 개발을 위한 메커니즘 구축
<참고자료>
《信息通信行业绿色低碳发展行动计划(2022-2025年)》解读
一图读懂《信息通信行业绿色低碳发展行动计划(2022-2025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