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부 주도로 ‘탄소중립 과학기술 실시방안(′22~′30)’ 발표 | ||
|
||
|
□ 저탄소전환 에너지 기술 등 10대 분야 탄소중립 핵심기술 제시(8.17)
* 과기부, 발전개혁위원회, 공업정보화부, 생태환경부, 건설부, 교통운수부, 과학원, 공정원, 에너지국 등 9개 부처 공동 발표
○ (발전목표) ′25년 GDP 이산화탄소 배출량 ′20년 대비 18% 감소 및 ′30년에는 ′05년 대비 65% 이상 감소
* ′30년 탄소배출 정점 ′60년 탄소중립 실현
- ′25년 핵심분야 저탄소 관건 기술 개발 및 에너지 소모량 13.5% 감소, ′30년 탄소중립 첨단기술 연구 개발 및 녹색 저탄소 과기혁신체제 구축
○ 주요 과제로 첨단 저탄소기술 개발 등 10대 행동계획 제시
* 저탄소전환에너지기술, 저탄소제로탄소 산업프로세스, 도시건설 및 교통 저탄소기술, CCUS, 탄소포집 기술, 첨단 저탄소기술, 저탄소 제로탄소기술 시범응용, 관리전략, 인재 발전, 과기형기업육성, 국제협력 10대 과제에서 주요분야 정리
1) 저탄소전환 에너지기술
- ′30년까지 에너지기술 자주혁신역량 향상, 그린 에너지로 화석에너지 대체
- 석탄 청정이용, 신에너지,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 저장, 비전력 재생에너지, 수소에너지 등 개발
2) 저탄소․제로탄소 산업프로세스
- ′30년까지 철강, 시멘트, 화공, 비철금속 등 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 저탄소·제로탄소 철강과 화공,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저장기술, 저탄소·제로탄소 비철금속, 자원순환이용 기술 개발
![]() 3) 제로탄소 및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감소기술
- ′30년까지 이산화탄소 포집 원가를 ′20년 대비 30% 낮춤
- CCUS 기술, 탄소포집 모니터링, 생태시스템 탄소포집,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감소 기술 등 개발
![]() 4) 첨단저탄소기술
- (태양광전지) 단일 결정 태양광전지, 고효율 박막전지, 다중 접합전지 등 신형 소재 기술
- (원자력) 4세대 원자로, 핵융합로 등 신형 원자로 기술
- (그린 수소) 합성생물학 및 태양열을 직접 이용하는 그린수소 생산기술
- (에너지 저장) 고체 리튬이온 전지, 소디움 전지 등 저원가 및 장수명의 에너지저장 기술
![]() <참고자료>
《科技支撑碳达峰碳中和实施方案(2022—2030年)》
一图看懂《科技支撑碳达峰碳中和实施方案(2022-2030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