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22년 디지털경제 혁신발전 로드맵 발표
  • 등록일2022.09.02
  • 조회수795
 지방 도시 디지털 경제 혁신을 견인하는 정책, 투자, 인재, 혁신, 개방 등 주요 이슈 제시(8.22)
     * 디지털경제과기산업발전연맹, 화웨이기술회사, 화신컨성팅연구원, 상하이스마트도시발전연구원 등 공동 발표 
 디지털 경제과기산업발전 연맹은 디지털 경제 발전을 국가 발전과 국제경쟁력 전략의 핵심으로 정하고, 31개 성급 행정구 내 디지털 경제 발전 가속화 단계 진입 전략 방안을 발표
- 중국은 ′19년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도로 ‘국가 디지털경제 혁신발전 실험구’ 육성 방안을 발표하고, 작년 6월 ‘디지털 경제발전 14.5 규획’에서 ′25년까지 디지털 경제비중 50% 달성 목표를 제시한 바 있음 
- 이와 관련 지역내 존재하는 디지털 인재 부족, 혁신역량 미흡, 데이터 장벽 존재, 자금 투입 부족, 산업 생태계 미비 등의 문제 해결에 대한 전략 모색

 디지털 경제발전의 핵심은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에 기반한 기술혁신, 산업육성에 있으며, 과학기술 혁신 → 시장응용 → 산업 육성의 과정에서의 지역 디지털경제 혁신 발전 프레임 제시
- 기업 혁신 능력을 위한 자본, 인재, 데이터 3대 요소 시장을 강화하여 과학기술 혁신 활동과 산업 육성을 전개하는 동시에 브랜드, 홍보 방면에서 기업 지원 강화 필요
- 특히, 자금, 인재, 데이터는 디지털 경제 발전의 핵심요소이며, 디지털 개방은 기반이므로 4대 핵심 역량으로 안정적 발전 전략을 구축해 나가야 함 
 
 
 본 보고서에서는 핵심 12대 발전 전략 제시 및 그 간 추진해 온 성과를 공유 
     * 전체 12대 전략 중 정책입안, 투자유치, 기술혁신, 지역개방 등 4대 분야를 발췌 정리 
(1) 정책 입안 : 디지털 경제 입법 추진 및 디지털경제 전문 계획 편성 
- (입법) 광동성 디지털 경제전문계획(′18), 광동성 디지털 경제촉진 조례(′21), 저장성 디지털 경제발전 10.5 규획, 허난성 디지털 경제촉진 조례 발표 및 시장 주체 권익 보호 제안(′22) 
- (전문계획) 국무원 10.5 디지털경제 발전계획* 발표, 저장성 ‘3구 3센터’ 건설 제안, 항저우 디지털경제발전 10.5 규획을 발표
    * 전국 디지털 경제체제 메커니즘 혁신 선도구, 혁신 디지털 과학기술혁신센터, 신흥금융센터, 글로벌 디지털 무역센터 등
(2) 투자유치 : 외자투자 전문프로젝트 전개 및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구축 
- 디지털 경제 투자 유치 전문팀 구축, 및 전담반 추진, 투자 유치도시와 발달 도시간 인큐베이터 합작 추진
- 빅데이터+AI 기술을 통해 기술별 정확한 파트너 매칭, 주요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구축, 자발적 서비스 실현
    * 요녕성 참무 개혁혁신시범구(沈抚改革创新示范区)는 21개 프로젝트 전담반 구성 및 14+32+N 프로젝트 서비스 관리
(3) 기술혁신 : 산학연 협력 강화 및 과학기술혁신센터 구축 
- 과학기술 성과 전환을 촉진하고 성과이전 전환 중개기관 건설 강화, 데이터 베이스 구축
- 기업 주도의 디지털경제 1호 발전공정 임무를 추진하고 대기업 주도의 M&A, 자산양도 방식 채택, 중소기업의 혁신 지원 
- 가젤, 유니콘 등 혁신기업을 지원하고 과학기술혁신센터 플랫폼 기반의 신흥산업 배치 및 산업망 확장 
(4) 시장개방 : 수요 파악 및 혁신연합체 구성 
- 시장의 수요를 중심으로 주요 프로젝트 시나리오 목록을 발표하고 시장 추제들이 디지털 경제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 
- 차보즈(목을 조이는 기술) 난제를 해결하고 선도기업, 중앙기업, 국유기업, 혁신형 기업이 혁신연합체 구성을 유도 
 
 
<참고자료>
报告 | 《2022年区域数字经济创新发展行动路线报告》
发展改革委就国家数字经济创新发展试验区有关情况答记者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