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기상청, ‘중국 기후변화 청서(2022)’ 발표 | ||
|
||
|
□ 중국 지표면 평균 기온, 해수면 높이, 영구동토 활동층 두께 등 기후변화 지표 역대 관측기록 타파(8.3)
○ 중국은 ′13년부터 ‘국가 기후변화 적응전략’을 수립하여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응
- ′14년에 ‘국가 기후변화 대응규획(′14~′20)’을 발표
- ′16년에 도시 및 임업 등 분야 기후변화대응 액션방안을 발표하고 기상, 해양, 생태환경 등 분야 정책을 기후변화대응 범주에 포함시킴
- ′18년부터 기상청은 ‘중국 기후변화 청서’를 발표하여 기후변화 특징과 데이터를 공개
○ 2022년도 청서는 대기권, 수권, 빙권 및 생물권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를 관측
- (대기권) ′51~′21년간 중국의 지표면 온도 증가 속도는 0.26℃/10년으로 전 세계 평균 0.15℃/10년 보다 높은 수준이고, ′21년에는 1901년 이래 최고치인 0.97℃ 기록
* 윈난 위안장(元江)과 쓰촨 푸순(富順)의 최고 기온은 44.1℃와 41.5%를 각각 기록
- (수권) ′80~′21년간 중국의 연해 해수면 높이는 연간 3.4mm 증가해 같은 기간 전 세계 평균치보다 높은 수준이고, ′21년에는 1980년 이래 최고치인 84mm 기록
- (빙권) ′80~21년간 티벳 국도 연선의 영구동토 활동층 두께 증가속도는 19.6cm/10년이고, ′21년에는 관측기록 이래 최고치인 250cm 기록
* 우루무치 허위안(河源) 1호 빙하의 동서 말단 두께는 6.5m와 8.5m 각각 감소
- (생물권) ′21년에 중국의 식피 NDVI 지수는 지난 20년간 평균보다 7.9% 증가하여 2000년 이래의 최고치 기록
* 베이징 목련, 선양 아카시아, 허폐이 수양버들, 구이린 소합향, 시안 고로쇠 나무 잎이 피는 시기가 매 10년마다 3.5일, 1.5일, 2.5일, 3.5일, 2.8일씩 빨라짐
![]() ○ 태양 복사량, 에어로졸 광학두께(AOD) 등 중요한 기후변화 촉진인자 관측
- ′61~′21년간 중국의 연평균 태양 복사량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21년에 평균치보다 31.5kwh/㎡ 감소
* ′21년은 태양의 1755년 이래 25번째 활동주기의 상승단계로서 태양 흑점의 평균치가 지난 주기 보다 다소 높음
- 베이징 상덴즈(上甸子), 저장 린안(臨安), 헤이룽장 룽펑산(龍鳳山) 지역의 에어로졸 광학두께는 ′04~′14년간 파동적으로 증가하였지만, ′14~′21년 사이 감소 추세를 유지
* ′21년에 상덴즈와 린안의 가시광(중심파장 440nm) AOD 평균치는 0.34±0.33과 0.41±0.23를 각각 기록
<참고자료>
《中国气候变化蓝皮书(2022)》正式发布!
我国应对气候变化的现状和成效分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