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톈궁(天宮) 우주정거장 구축을 위한 세번째 유인우주선 발사 | ||
|
||
□ 중국은 간쑤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서 세 번째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하면서 ‘톈궁’ 우주정거장 독자 건설에 박차(6.8)
○ 중국은 ′92년부터 ‘중국 유인우주비행공정’을 가동하여 유인우주선, 우주실험실 및 우주정거장 3단계로 구분하여 지속적으로 추진 중
- 유인우주선 단계(′92~′05) : 선저우 5호~6호 유인우주선을 발사해 우주응용기술 실험 추진
- 우주실험실 단계(′06~′15년 전후) : 선저우 10호 및 톈궁 2호 우주실험실 등을 발사해 우주유영기술, 우주설비 도킹기술, 재생식 생활보장기술, 우주설비 보강기술 등 4대 핵심기술 개발
- 우주정거장 단계(′20년 전후) : 톈허(天和) 핵심모듈과 원톈(問天)·몽톈(夢天) 실험실 모듈 등을 발사해 장기체류가 가능한 우주정거장 독자 건설
○ 톈궁 우주정거장 구축을 위해 3명의 우주비행사는 6개월 간 핵심기술 테스트, 각종 장비의 설치 및 과학실험을 진행할 예정
- 원톈(問天)과 몽톈(夢天) 2개의 실험실 모듈에 최초로 입주하여 장기 거주환경을 마련하는 동시에 10여종의 과학실험장치를 설치하는 등 우주정거장 실험실 모듈을 본격적으로 구축
- 에어록(Airlock), 그리고 원톈 실험모듈의 소형 로봇팔을 최초로 사용해 2~3회의 우주유영 진행
- 추후에 쏘아 올릴 실험실 모듈, 화물우주선 및 유인우주선 등 우주설비와의 원활한 도킹을 위해 수동 정밀도킹 기술력 보강
![]() ○ ′22년 안에 완공 예정인 중국우주정거장의 국제협력을 위해 ′19년에 9건의 프로젝트 공모
- 주요 분야로 우주천문학, 미세중력 유체역학과 연소, 우주생명과학과 바이오기술, 지구과학, 응용 신기술 등을 포함하며, 독일, 프랑스, 러시아, 일본 등 17개 국가(미국 제외)가 참여
- 향후 2~3년마다 중국우주정거장 국제협력과제를 공모할 예정
![]() <참고자료>
中国空间站:国外符合标准可加入!空间站将上新利器,能抓卫星?
联合国/中国围绕中国空间站应用开展空间科学实验第一批入选项目清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