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2025년 중국 AI의 진화 코드: Gartner가 본 10대 핵심 트렌드
  • 등록일2025.07.11
  • 조회수658
□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 Gartner는 처음으로 중국 로컬시장에 초점을 맞춘 AI 트렌드 보고 발표(25.7.7)
 
○ 이번 보고서는 ▶기술 돌파 ▶비용 효율 ▶생태계 확장 등 중국 AI 발전의 3가지 핵심축을 중심으로, 개방형 GenAI 모델 확산을 포함한 10대 주요 트렌드를 종합적으로 제시
1) 기술 돌파: 기술 자립과 시스템 구조 재편
- 중국 AI 산업은 반도체 칩 및 연산 자원 부족, 지정학적 리스크, 외부 기술 차단 등 구조적 제약 속에서도 오히려 ‘혁신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는 절박함을 바탕으로, 기술 자립을 위한 체계적 재편에 착수하고 있음
- Gartner는 중국이 ▲ 국산 개방형 생성형 모델(예: 딥시크)의 성능 향상 ▲ 대기업 중심의 기술 체계 강화 ▲ AI 에이전트 기술의 확산 등을 통해 독자적인 기술 경로를 본격화함
2) 비용 효율: 실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전략적 도입
- 중국 기업들은 AI를 단순히 ‘도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비용 대비 가치 극대화를 지향하는 실용주의적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특히 중소기업 및 산업 현장에서는 ▲경량형 모델 ▲로컬 연산 및 엣지 컴퓨팅 등의 ‘절약형(Frugal) AI’ 모델이 급속히 확산 중임
- Gartner는 특히 AI 도입 시 발생하는 ‘숨은 비용’(예: 데이터 정제, 모델 튜닝, 인프라 비용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중국 기업이 초기 단계부터 ▲비용 통제 전략 ▲단계적 확산 전략(‘낮은 진입–단계적 확대’)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음
3) 생태계 확장: 소비자 중심의 AI 활용 기반 강화
- 미국 및 유럽이 주로 사무환경(B2B)의 업무 자동화 중심으로 AI를 도입하는 것과 달리, 중국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소비자 접점(B2C)에서 AI 기술이 우선적 확산되는 방향으로 추진
- 예를 들어, ▲디지털 휴먼을 활용한 관광 안내 ▲고령층 친화적 설계를 반영한 AI 은행 앱 등은 ‘소비자 주도형 생태계’의 구체적 사례로 꼽힘
 
 
 
<참고자료>
(25.7.1, 先进制造研究院) Gartner 发布2025年中国人工智能十大趋势
(25.7.1, 数字商业时代)在挑战中重构创新:中国AI的“创新路径图”
 
작성자: 우만주 연구원(yumanshu8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