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중국, 제조업 품질관리 디지털화 강화
  • 등록일2022.01.20
  • 조회수479
  • 첨부파일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 최근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제조업 품질관리 디지털화 실시 가이드라인(指南)」을 발표(12.30)
● (배경) 중국은 세계적으로 공업체계가 가장 완비된 국가로 ′10년 이후 제조업 증가치가 11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하여 제조업 대국 지위 확보
– 중국은 500개의 주요 공업품목 중 40% 이상의 제품 생산량 세계 1위를 차지했으나 “규모가 크나 경쟁력이 부족하고 전반적인 산업 사슬을 갖췄으나 실력이 부족” 등의 문제 해결 필요
– 4차 산업혁명 시대 전 과정 품질관리 디지털화를 통해 △산업 사슬과 공급사슬 간 협동 수준 향상 △제조업 품질・효율・성장동력 변혁 △질적 성장 추진 필요
● 제조업 기업은 ‘1개 중심’, ‘3개 전환’ 및 ‘4대 원칙’에 따라 제조업 품질관리 디지털화 실시
– ① 디지털 능력 건설을 중심으로 품질관리 디지털화 발전 촉진 ② 범위, 중점 분야, 핵심업무 등 ‘3개 전환’ 가속화 ③ 데이터, 혁신, 시범, 협력 등 ‘4대 원칙’ 고수

 

 

– 4대 원칙 중 특히 데이터는 토지, 노동력, 자본과 기술에 이어 제5대 생산요소로서 무한 복제・공유가 가능하여 품질관리 수준 향상 등에 있어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큼

 

 

 

● 주요목표는 △5M 1E 품질관리 디지털화 능력 강화 △중점 분야 품질관리 디지털화 시범사업과 시범기업 선정 △제조업 기업 사용을 위한 지원 서비스 능력 향상 등으로 구성
1) 5M 1E 품질관리 디지털화 능력 강화
– Man(사람): 사람의 스타일, 일하는 방식, 개개인의 공정 이해도, 개인 역량
– Machine(기계): 설비의 성능 차이, 기계의 노화 등 기계와 관련된 요인
– Material(재료): 사용되는 재료의 성분, 소재, 품질 등
– Method(방법): 업무 수행 방법, 열처리, 표면처리, 공정 배치, 작업 방법, 표준화
– Measurement(측정): 측정 도구의 정밀성, 계측 장비
– Environment(환경): 업무환경, 법률 등 프로세스 환경과 관련된 원인

 

 

2) 중점 분야 품질관리 디지털화 시범사업과 시범기업 선정
– △바이오의약 △신소재 △우주 항공 △선박・해양 프로젝트 △ 전자제조 △신에너지 및 스마트 커넥티드카 등 중점 분야 품질관리 디지털화 시범사업 실시를 통해 브랜드 영향력 제고
3) 제조업 기업 사용을 위한 지원 서비스 능력 향상
– 제조업 기업 품질관리 디지털화 관련 표준・규정, 방법・도구, 해결방안 등 수요에 따라 전문기구, 산업조직, 해결방안 공급자 등 유관기관은 지원 서비스 강화



정보출처 : https://www.miit.gov.cn/zwgk/zcjd/art/2022/art_1703d04af314462992df138989e035b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