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과학원 지질・지구물리연구소는 중국 국가천문대와 공동으로 창어(嫦娥) 5호 달 샘플의 특성을 입증(10.19) - 창어 5호 현무암의 정확한 연대 데이터 분화구의 연대측정 곡선을 통계하기 위한 핵심 기준점을 제공하고 태양계 천체 표면의 분화구 연대측정 통계 정확도를 크게 향상할 전망 - 지역의 분화구 크기와 수를 통계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창어 5호 착륙 지역이 달에서 가장 젊은 현무암 유닛 중 하나이며 해당 지역 시점을 10억~30억 년으로 예상 - 초고해상도 연대측정 및 동위원소 분석 기술은 국제 선진 수준으로 희귀한 우주계 표본의 연대학 연구를 위한 새로운 기술적 방법 제공 ● 달 마그마 활동의 형성 원인에 대해 2가지 가능성 증명 - 창어5호 착륙 지역 암석의 초기 마그마 용해 열에너지가 방사성 원소에서 유래한다는 기존 가설을 배제하고 달 후기 마그마 활동 과정을 제시 - 자체 개발한 나노이온 탐침 분석 및 현무암 물 함량과 수소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달 맨틀 발원지의 물 함량이 1-5μg/g에 불과함으로 달 맨틀이 아주 건조함을 입증 ● 해당 연구 성과는 달의 열 진화 연구에 새로운 과학적 문제를 제시하였고 미래 달 탐사와 연구를 위한 새로운 이론적 프레임과 진화 모델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