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中, “지구가 아닌 우주에서 연산한다”, AI를 탑재한 우주지능 위성군 발사
  • 등록일2025.05.23
  • 조회수509
□ 즈장(之江)실험실과 궈싱우항(國興宇航)은 기존 ‘우주 관측-지상 연산’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고성능 연산·AI모델·레이저 통신을 융합한 차세대 우주지능컴퓨팅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세계 최초의 우주 연산 위성군 ‘삼체(三體)컴퓨팅위성군’를 성공 발사함(25.5.14)
(개발 배경) 기존 ‘우주 관측-지상 연산(天感地算)’에서 ‘우주 관측-우주 연산(天地協同)’으로 전환하기 위해 ′24년 7월 즈장실험실·궈싱우항 주도로 ‘삼체컴퓨팅위성군’ 프로젝트가 착수되어 핵심 우주 연산·통신 기술 개발이 본격화됨
- 기존 ‘우주 관측-지상 연산’ 방식은 전체 데이터 중 10% 미만만 지상에 전송 가능하고, 수 시간 단위 지연 발생 등 한계 존재
 
 
(기술 혁신) 이번 발사를 통해 12기의 위성이 일괄 탑재되며, 초고성능 연산·AI·레이저 통신이 결합된 차세대 우주지능컴퓨팅 플랫폼이 본격적인 궤도망 구축 단계에 진입함
- (우주 연산 탑재) 각 위성에 P급(페타플롭스급) 연산 성능을 탑재하여 기존 위성 대비 10~100배 성능을 확보하였으며, 12기 위성 간 연동 시 총 5POPS(초당 5천만억 회 연산)의 연산 능력과 30TB 규모의 저장 용량을 확보
*POPS는 초당 1천만억 회 연산을 의미하는 페타급 연산 단위로, 슈퍼컴퓨터·AI 플랫폼·우주 컴퓨팅 인프라의 성능 지표로 사용됨
- (AI 모델 탑재) 80억 개 매개변수를 갖춘 우주 기반 인공지능 모델을 탑재하여, 다양한 원격탐사 데이터를 궤도 상에서 자율적으로 처리 가능
- (초고속 우주 통신망 구축) 위성 간 레이저 통신속도는 100Gbps에 달하며, 지상과 우주를 연결하는 통합 네트워크 기반 조성
 
 
(현황 및 계획) 우주 기반 연산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위성군 대형화를 추진하고, 초고성능 연산체계 구축을 단계적으로 실현 중임
- 이번은 초기 12기 위성 네트워크를 완성하여, 우주 기반 연산 기능 검증 및 감마선 폭발 초단위 감지, 산불 대응 등 실증 적용 완료
- ′25년까지 50기 이상 추가 발사로 총 100POPS 규모 체계 구축, 장기적으로는 1,000기 위성 기반의 1,000POPS 연산망 실현 목표
(활용 분야) 우주기반 연산을 통해 재난 대응, 과학 탐사, 산업 활용 전반의 실시간성과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제고함
- (즉시 대응 체계 구축) 재난 대응, 도시 관리 등 분야에서 데이터 처리 시간이 기존 수 시간 단위에서 수 초 단위로 단축되어 실시간 대응 역량 제고
- (과학 탐사 지원) 천문 관측 데이터를 궤도 상에서 실시간 처리함으로써 우주과학 연구의 수행 방식 전환 및 탐사 효율 향상
- (산업 구조 혁신) 저고도 경제, 스마트시티 등 분야에 고정밀 3차원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하여 신산업 창출 기반 마련
 
<참고자료>
(25.5.15, 新华网) 我国成功发射太空计算卫星星座
(25.5.14, 新华网) 具备太空在轨计算能力 我国太空计算卫星星座发射看点解析
(25.2.18, 浙江省科学技术厅) 之江实验室聚焦智能计算
 
작성자: 정리 연구원(mioul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