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기초연구비, 400억 위안에서 700억 위안으로 성장 | ||
|
||
![]() 2017년 2월 22일 과학기술부 기초연구사(司)의 발표내용에 의하면, 중국의 기초연구 투입은 2011년 411.8억 위안에서 2015년 716.1억 위안으로 증가하여 73.8% 성장하였고 연평균 증가폭도는 14.8%에 달하였다. “12차 5개년” 이후, 중국은 재정적 과학기술투입 구조를 부단히 최적화하였고 기초연구경비투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중앙재정은 여전히 기초연구투입의 주체로서 중앙 재정기초연구지출은 500.45억 위안에 달하여 중앙 재정과학기술지출의 20%를 차지하였다. 중국은 국제 과학기술 논문 수량에서 연속 다년간 세계 2위를 차지하였고 기초연구 중요 분야에서는 동일 수준 혹은 선두 수준에 처해 있다. 이에는 FAST(500m 구경 전파망원경)의 완공 및 가동, 다야완(大亞灣)중성미자실험에서 새로운 중성미자 진동 발견 등이 포함된다. 이외에, 기초연구는 자원공유서비스 차원에서 현저한 성과를 얻었는데 과학연구 시설·기기 국가네트워크관리플랫폼은 가동되어 이미 3,100개 기관의 58개 중대과학연구 기초시설 및 원가 총금액이 670억 위안에 달하는 4.7만 대(세트) 대형 과학연구기기가 포함된다. 과학연구 시설·기기의 개방률은 71.2%에 달하였고 중국에는 이미 20개 성(직할시, 자치구)에서 혁신권(券)정책을 시행하여 약 1.5만 개 중소기업 및 혁신팀을 위해 혁신권 4.8억 위안을 배분하였다. 2009년에서 2016년까지, 중국은 대형 과학연구기기 구입필요성평의를 시행하여 중복 구입경비를 누계 192억 위안을 절약하였다. 향후, 중국의 기초연구 분야는 주로 “뇌과학과 뇌유사 연구”, “양자통신과 양자계산” 중대 과학기술프로젝트에 집중할 것이고 전략적 전망성 중대 과학문제 분야에서는 주로 줄기세포 및 전환연구, 나노기술, 양자제어와 양자정보, 단백질 기계와 생명과정 제어, 대과학장치 선도연구, 글로벌 변화 및 대응, 합성생물학, 발육프로그래밍 및 대사조절 등 중점 특별프로젝트를 배치한다. 정보출처 : https://mp.weixin.qq.com/s/pppVW8URmvVwK86G7Ch_Y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