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게시판

게시글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을 포함합니다.

쉬빈스원사:재제조 정책, 미래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산업플랫폼
  • 등록일2017.01.09
  • 조회수252


국가 “12차5개년” 계획이 확정된 후, 과학발전을 주체로 경제발전 방식전환을 주선으로 “13차5개년” 계획에서 혁신, 협력, 녹색, 개방, 공유의 발전이념을 제기하였다. 최근, 개최한 “세계혁신포럼•2016국가도시 신경제발전 시장포럼(북경)”에서 중국공정원 쉬빈스(徐滨士) 원사는 재제조 정책은 향후의 과학기술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줄 것이고 더욱 훌륭하고 더욱 빠른 발전을 이룩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제조 정책이란 무엇인가? 쉬빈스 원사의 소개에 의하면, 재제조란 일종의 친환경을 주도로 한 전생명주기적 이론으로 “폐기 처리된 재제조제품을 회복하고 복원·개조하여 새로운 제품 혹은 새로운 제품에 가까운 제품으로 만드는 것이다”고 밝혔다.

쉬빈스 원사는 재제조 정책은 이미 <<중화인민공화국 순환경제 추진법>>에 포함되어 순환경제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조치로 2009년1월부터 정식으로 실행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국무원에서 공표한 <<중국제조2025>>에서는 재제조 산업을 대거 발전시키고 첨단 재제조, 스마트 재제조, 서비스 재제조를 실행하여 제품인증을 추진하고 재제조산업의 지속적인 건전한 발전을 추진하여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쉬빈스 원사는 “30여년간의 노력을 통하여 중국 재제조 패턴은 전세계에 탁월한 기여를 하였다. 유럽연맹 책임자, 재제조 유지보수 책임자들도 중국이 글로벌 재제조 발전 기여에 대하여 표창한 적이 있다”고 하면서 재제조 산업은 향후 과학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하였다. 세계 과학기술은 두차례의 과학혁명과 3차례의 기술혁명을 거쳤다. “중국은 전 4차례의 과학기술 혁명에 참여하지 못했고 제5차 과학기술 혁명에서도 큰 작용을 하지 못하였으며 취득한 성과도 적었다. 제6차 과학기술혁명은 2020년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또한 중국 공업화가 기본적으로 완성되는 시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번 기회를 잘 잡아야 한다”고 쉬빈스 원사는 밝혔다.

정보출처 : http://news.sciencenet.cn/htmlnews/2017/1/364905.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