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교 취업창업보고서 2016, 취업률 90.58%, 평균 임금 3,869위안 | ||
|
||
![]() 2016년 12월 12일, 「중국 대학교 졸업생 취업·창업 발전보고서 2015-2016」이 동북사범대학교에서 발표되었다. 동북사범대학교 취업·창업교육연구원 집행원장이자 사회과학처 처장인 왕잔런(王占仁) 교수의 소개에 의하면, 동 보고서는 하나의 메인 보고와 두 개의 분야 보고서(Branch report)로 구성되었다고 한다. 「분야 보고서 1: 대학생 취업발전보고서」는 전국 20여만 명의 당년 대학교 졸업생들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야 보고서 2: 대학생 창업발전보고서」는 전국 8대 경제구역 16개 전형 도시의 대학교, 창업원에 대하여 방문조사를 진행하고 창업대학생 샘플 5,000개를 수집하였다. 「대학생 취업발전보고서」는 2016기 전국 대학교 졸업생들의 취업률은 90.58%이고 계약 체결률은 68.64%이며 4년제 대학교 졸업생들의 석·박사연구생 지원률은 14.91%라고 밝혔다. 취업 지역을 보면, 연해지역을 선택한 인수가 67.03%로서 여전히 가장 많았다. 취업 영역을 보면, 정보수송·컴퓨터서비스·소프트웨어 영역, 금융 영역과 교육 영역의 취업 인수가 1~3위로서 각각 12.76%, 12.38%, 11.48%이다. 취업기관 유형을 보면, 사기업에 취직한 인수가 57.34%로서 가장 많았다. 연구 데이터에 의하면, 2016기 졸업생들의 취업 만족도는 73.88%이고 전공 매칭 비율은 67.97%이며 평균 임금은 3,869위안이다. 그 외, 학생회 간부로 경력이 풍부하고 성적이 높을수록 취업대기 기간이 더욱 짧았다. 「대학생 창업발전보고서」는 2016기 전국 대학교 졸업생들의 창업률은 2.93%이고 그중, 예술학, 경제학과 관리학 전공 졸업생들의 창업률이 비교적 높았다. 절반 이상의 대학생 창업자들이 창업 장소를 학교 소재지로 선택하였다. “정보수송·컴퓨터서비스·소프트웨어업”, “제조업”과 “도매·소매업”은 그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분야이다. 또한 51.47%의 졸업생들은 “취직 1~3년 후”가 창업하기 가장 적당한 시기라고 밝혔고 45.03%의 졸업생들은 창업에 흥취를 가지고 있었다. 그 외, 창업자들의 졸업학교 유형을 보면, 일반 4년제 대학교 출신 창업자들이 44.50%로서 가장 많았다. 학력 유형을 보면, 4년제 학력을 가진 창업자들이 69.40%로서 가장 많았다. 조사에 참여한 대학생 창업자들의 창업 여부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각각 “학교 창업교육의 영향”, “상업·기업 활동과의 접촉”, “친구 영향”이고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객관적 요소는 순서대로 각각 “인맥관계”, “시장환경”, “자금”이다. 왕잔런 교수에 의하면, 오직 17.43%의 대학생 창업자들만이 체계적인 창업교육을 받았고 창업강의, 매체와 사회적 홍보, 실천 등은 창업자들이 창업 관련 지식을 취득하는 3가지 주요 경로이다. 또한 대학생 창업자들이 직면하는 주요 곤경은 순서대로 각각 “개인 창업경험·능력의 부족”, “팀워크 부족”, “합격한 안정직원을 찾지 못함”이다. 창업부화기지 입주, 사회 전문적 기관에서 제공하는 창업서비스, 대학교에서 개설하는 창업지도과정 등은 대학생 창업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창업지원이라고 한다. 정보출처 : http://www.chinahightech.com/html/chuangye/cyfh/2016/1213/357704.htm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