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공엔진과 가스터빈 중대 전문프로젝트 확정 가동 | ||
|
||
![]() 2016년 11월24일, 공업정보화부 미오워이(苗圩) 장관은 전국 공업정보화 혁신대회에서 “13차5개년”기간, 중국이 중대 과학기술 전문프로젝트 실행하고 지속적으로 첨단장비제조업의 발전을 추진하며 항공엔진과 가스터빈(이하, “량지”) 중대 전문프로젝트 정식 가동에 관하여 소개하였다. (1) “량지”전문프로젝트 정책에 대한 지원과 향후 시장현황 국가 중대과학기술 전문프로젝트인 “량지”에 대하여“13차5개년”기간 중국은 량지에 대한 중대전문프로젝트를 정식으로 시작하고 핵심기술을 발전시키고 대형 항공기 엔진, 첨단 헬리콥터 엔진, 대형 가스터빈 등 제품의 연구와 제작을 추진하며 기본적인 항공엔진과 가스터빈의 독자적 혁신 기초연구, 기술과 제품의 연구개발, 산업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량지”전문프로젝트의 주요 업무중점들을 다음과 같다. 항공엔진 전문프로젝트는 터보팬 엔진, 터보제트 엔진 영역을 중점으로 하는 동시에 일정한 시장수요가 있는 터보샤프트, 터보프롭, 피스톤 엔진 등 영역도 겸한다. 주로 고바이패스비(high bypass ratio)대형 터보팬 엔진, 중소형 터보팬/터보제트 엔진, 중형 고성능 터보샤프트 엔진 등 중점 제품들을 연구개발한다. 가스터빈 전문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2020년까지 F급 300MW 가스터빈의 독자적 연구·제작, 2030년까지 H급 400MW 가스터빈의 독자적 연구·제작을 실현하는 것이다. 수많은 제조업 영역과 관련이 있으며 국내외 시장의 수요가 많으므로 항공엔진과 가스터빈 산업은 글로벌 제조업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국가 제조강국건설전략자문위원회에서 예측한 바로, 향후 10년간 글로벌 시장이 항공엔진 제품에 대한 수요는 아주 많을 것인데 그 중 터보팬 엔진, 터보제트 엔진의 글로벌 누적 수요량은 7.36만대를 초과할 것이고 그 전체 가치는 4,000억불을 넘을 것이라고 한다. 또한 터보샤프트 엔진의 누적 수요량은 3.4만대 이상으로 그 전체 가치는 190억불을 넘을 것이고 터보프롭 엔진의 누적 수요량은 1.6만대 이상, 전체 가치는 150억불을 초과, 피스톤 엔진의 누적 수요량은 3.3만대 이상으로 전체 가치는 30억불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가스터빈은 전력, 선박, 제조업 등 수많은 영역에 널리 응용될 것이다. 특히 에너지 전력공업 중에 많이 응용된다. 예측에 의하면, 글로벌적으로 가스터빈에 대한 에너지 전력 영역의 수요량만 5,000억불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만약 선박과 제조업 등 영역의 수요까지 고려한다면 전체 시장규모는 1조불을 넘을 것이다. (2) 중국 제조업의 발전을 추진 2016년, 첨단장비제조업을 지원하는 많은 정책들이 발표되면서 산업의 발전에 양호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2016년 “양회”기간, “13차5개년” 계획강요 초안에서는 향후 5년 동안 중국은 첨단장비 혁신발전공정을 실행할 것이라고 명확히 제기하였고 중점적으로 우주항공, 궤도교통, 해양공정 등 8대 산업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공업정보화부, 발전과 개혁위원회, 재정부 등 기관에서는 연이어 <<친환경제조 2016전문프로젝트 실행계획안>>, <<공업기초 2016전문프로젝트 실행에 관한 알림>>, <<로봇산업발전계획(2016-2020년)>> 등 구체적인 정책들을 발표하였다. 국가제조강국건설전략자문위원회의 연구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첨단장비 제조업의 판매수익은 6조 위안을 초과하였는데 이는 장비제조업의 15%를 차지하였다. 2020년까지 첨단장비제조산업의 판매수익이 장비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5%까지 상승할 것으로 본다. 첨단장비제조업은 국민경제를 지탱하는 주요산업으로 될 것이다. 데이터에 의하면, 2013년 중국 장비제조업의 생산치는 20조 위안을 초과하여 글로벌 장비제조업의 1/3이상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양적인 크기와 달리 질적인 혁신 능력도 많이 부족하였으며 산업발전도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들과 일정한 차이가 있었다. 중국에서 제정한 장비제조업 업그레이드 3단계 전략에 의하면, 2025년까지 중국은 세계 장비제조 강국의 제2진영에 진입하여야 하고 부분 첨단장비제조산업은 국제 선진수준에 도달하여야 한다. (3) 여러 산업밴드의 형성 가속화를 위한 방안 국무원의 배치에 따라 관련 부서에서는 첨단장비제조 산업밴드 발전계획 제정을 계획하고 있다. 이 계획은 중국 각 지역 기존의 제조업 조건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구역 내의 항공, 선박, 자동차, 궤도교통 등 여러 첨단장비제조 영역의 종합적 발전을 추진하고 중심도시, 중심구역을 핵심으로 한 첨단장비제조 산업군집을 형성하도록 한다. 현재 중국은 이미 베이징, 톈진(天津), 산둥(山东), 상하이(上海), 저쟝(浙江), 광저우(广州), 주하이(珠海), 선전(深圳), 창사(长沙), 우한(武汉), 시안(西安), 청두(成都), 충칭(重庆)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 핵심도시(군집)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도시들의 산업 선도작용을 발휘하기 위하여“13차5개년”기간, 중국은 각 지역의 기존 제조업 상황에 근거하여 첨단제조업 산업밴드를 구축하고 항공, 선박, 자동차 등 기존 산업을 기초로 원자력, 신에너지 자동차, 해양공정 등을 포함한 여러 개의 산업군집을 형성할 것이다. 관련 부서, 위원회의 업무배치에 따라 쟝수성(江苏省) 남부와 저쟝 두 구역의 첨단장비제조 산업밴드의 발전계획에 대한 조사연구와 제정은 이미 시작되었다. 기타 지역의 계획 제정도 곧 시작할 예정이다. 상기 두 구역의 제조업 현황에 의하여 항공, 선박, 자동차, 해양공정, 스마트장비제조, 신에너지 자동차 등 산업을 중점적으로 발전할 예정이다. “핵심도시를 통하여 구역발전을 도모하는 방식”으로 “13차5개년”기간, 베이징, 톈진, 산둥을 핵심으로 한 발해만지역, 상하이, 쟝수, 저쟝을 핵심으로 한 장강삼각주 지역, 광저우, 주하이, 선전을 중심으로 한 주강삼각주 지역, 후난(湖南), 후베이(湖北)를 핵심으로 한 중부지역, 산시(陕西), 스촨(四川), 충칭을 핵심으로 한 서부지역은 5대 첨단장비제조 산업밴드를 형성할 것이다. 정보출처 : http://www.chinahightech.com/html/chuangye/zchj/2016/1125/354633.htm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