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자들의 또다른 기술혁신 | ||
|
||
![]() 중국 과학자들이 물리학 분야의 Weyl fermion 분석기술, 화학분야의 석탄가스 전환기술, 재료분야의 액체금속, 나노분야의 나노녹색인쇄, 바이오분야의 뇌인지계산 등 여러 기초과학 영역에서 “변혁성 기술개혁”을 일으키고 있다. “변혁성 기술개혁”이란 “과거를 파괴하여 얻는 새로운 파괴성 기술개혁”이라고도 하는데 과학기술의 혁신과 돌파로 전통적 혹은 주류의 기술, 상품, 공정공법, 상업소비모델 및 전세계 경제의 변혁성, 돌변적인 진보를 일컫는 말이다. 전문가에 따르면 “변혁성 기술”은 기초과학의 새로운 발견에서 기초를 두는데, 중국은 현재 디양한 영역의 과학연구에서 변혁성 기술의 빛을 보게 되었고 돌파성 실현을 이루게 될 것이다. 1. 중국과학원 원사, 중국과학원 대련 화학물리연구소 연구원 바오신허(包信和)와 그의 팀은 나노 밀폐(Nano-confined)촉매의 신개념을 창조하여 선택도 높은 석탄 합성가스의 반응으로 저탄소 올레핀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2015년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 연구원 웡훙밍(翁红明)팀은 Weyl fermion(外尔费米子)을 발견하여 영국물리학회가 주최하는 “물리세계”에서 발표하는 “2015년 10대 돌파기술”에 선정되었다. Weyl 반금속의 특수성질은 저에너지, 고주파 전자부품 및 토폴로지 초전도와 고장방지의 토폴로지 양자계산 등에 사용된다. 2. 중국과학원 물리화학연구소 연구원 류징(刘静)이 이끄는 팀은 세계 최초 자율운동으로 변형하는 액체금속기계를 연구 개발하였다. 금속기계 유닛이 3차원으로 조립되고 집합적으로 프로그래밍된다면 플랙서블 지능로봇의 연구 개발에 기술방법을 수립할 수 있고 전통적인 로봇의 면모를 바꿀 수 있다. 3. 중국과학원 화학연구소 연구원 쑹옌린(宋延林)팀은 나노 재료제조 및 기능형 잉크 방울 무늬화의 기초과학 문제를 놓고 대량의 연구를 진행하여 녹색제판 등 핵심기술 및 프린팅기술로 도형의 정밀도, 크기척도 등 방면의 제한을 극복하였다. 과학연구 성과는 중국의 인쇄업종이 직면한 오염, 소모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해 주었다. 4. 중국과학원 자동화연구소 연구원 쉬보(徐波)는 연구원들을 이끌고 뇌인지모형과 인공지능의 응용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뇌인지모형 연구의 기본 사고방향은 뇌의 구조, 기능과 처리 메커니즘을 자동화분야에 적용하는 것이다. 뇌인지모형이 신경네트워크 모형의 혁신원천으로서 추진력, 학습, 계획과 결정 등 고급인지기능을 실현하여 인간의 지력을 대체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5. 바이오닉 복합재료가 교통기술 영역에 응용되고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에너지 건전지에 응용된다. 또한 정확한 진단을 동반하는 악성종양 파괴가 용이한(Oncolytic) 바이러스 치료법 등 연구방향에 응용된다. 정보출처 : http://it.sohu.com/20160325/n442049967.shtm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