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차세대 원자로 연구 동향 | ||
|
||
![]() 현재 중국의 갈수록 심각해지는 생태환경 오염, 특히 미세먼지 문제는 에너지구조 조정을 더 이상 미룰수 없는 이슈로 부각시켰다. 중국은 전 세계적으로 완비된 핵산업시스템을 보유한 소수의 국가로서 원자력의 규모화 발전에 소요되는 굳건한 기술적 기반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또 원자력 발전의 안전을 위한 정책적 및 기술적 노력에 총력을 경주하고 있다. 향후 동위원소 및 방사성 응용산업의 시장규모가 원전산업 규모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중국은 해당 분야 사업에서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본문에서는 중국의 차세대 원자로형, 핵연료순환, 방사선 응용, 핵기초연구 분야 동향을 조사 및 분석한 후 한중 협력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Ⅰ. 중국의 원전 특징 Ⅱ. 차세대 원자로형 Ⅲ. 핵연료 순환 Ⅳ. 동위원소 및 방사선 기술 Ⅴ. 핵 기초연구 Ⅵ. 협력 시사점 |
- 이전글 중국의 5G R&D 동향
- 다음글 중국의 연료전지자동차 R&D 동향
